밍키넷: 해외 성인 컨텐츠 제공 사이트와 국내 법적 이슈 밍키넷 링크 > 자유게시판

본문 바로가기
사이트 내 전체검색


회원로그인

포인트충전
자유게시판

밍키넷: 해외 성인 컨텐츠 제공 사이트와 국내 법적 이슈 밍키넷 링크

페이지 정보

작성자 즙수병햇 작성일25-04-07 11:19 조회9회 댓글0건

본문


안녕하세요, 오늘은 성인 컨텐츠를 제공하는 해외 사이트인 밍키넷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밍키넷은 대한민국을 포함한 한글 사용자들을 대상으로 다양한 성인 컨텐츠를 제공하는 사이트로, 해외 서버를 통해 운영됩니다. 주된 컨텐츠로는 성인 동영상, 성인 만화, 웹툰, 스포츠토토, 토렌트 등이 있습니다. 하지만 국내에서는 밍키넷의 접속과 관련된 몇 가지 법적 이슈가 존재하는데요, 접속 방식과 법적 상황에 대해 좀 더 자세히 살펴보겠습니다.



1. 밍키넷이란?


밍키넷은 성인 전용 사이트로, 주로 한글 사용자들을 대상으로 다양한 성인 컨텐츠를 제공합니다. 성인 동영상, 성인 만화, 웹툰 등을 쉽게 찾을 수 있는 플랫폼입니다. 사이트는 HTTPS 주소를 통해 제공되며, 해외 서버를 기반으로 하고 있습니다. 이로 인해 국내 규제에서 비교적 자유로울 수 있지만, 대한민국의 인터넷 규제 정책에 영향을 받을 수 있습니다.



2. 밍키넷 접속 방법


한때 밍키넷은 HTTPS 주소 덕분에 대한민국에서도 접속이 가능했으나, 2018년 이후 정부의 해외 불법 사이트 차단 정책에 따라 VPN을 사용하지 않으면 접속이 불가능해졌습니다. 이에 따라 사용자들은 PC나 모바일에서 VPN이나 IP 우회를 통해 접속해야 합니다. 모바일 환경에서는 구글 재팬 등을 경유해 접속하는 방법이 알려져 있습니다.



3. 밍키넷은 합법일까?


해외에서는 밍키넷이 명백히 합법적인 성인 컨텐츠 제공 사이트로 운영되고 있지만, 대한민국 내에서는 상황이 다릅니다. 대한민국은 성인 포르노 자체를 불법으로 규정하고 있으며, HTTPS 차단 이후로는 밍키넷 역시 불법 사이트로 취급됩니다. 따라서 VPN이나 우회 접속을 통해 사이트에 접근하는 경우 법적 위험이 있을 수 있으므로 주의가 필요합니다.



결론


밍키넷은 해외에서는 합법적으로 운영되는 성인 사이트지만, 대한민국 내에서는 법적으로 문제가 될 수 있습니다. VPN을 통한 우회 접속이 필요하며, 이러한 접속 방식이 법적 제재를 받을 수 있다는 점을 염두에 두어야 합니다.



키워드: 밍키넷, 성인 사이트, 성인 컨텐츠, HTTPS 차단, VPN 접속, 포르노 규제, 성인 만화, 웹툰, 해외 서버, 대한민국 법, 우회 접속, 성인 동영상, 밍키넷 사이트, 55

[슬기로운 미술여행 - 17] 베를린 신국립미술관
서베를린의 마지막 미술관은 신국립미술관입니다. 건축물이 주는 감동이 큰 곳이기도 합니다. 베를린에는 지금까지 만난 미술관 외에도 다양한 현대미술을 위한 공간들이 많았습니다.
이번에는 찾지 않았지만 통일의 상징적인 이미지가 벽화로 그려진 이스트 사이드 갤러리가 있죠. 발전소를 개조해 미디어 아트를 전시하는 크라프트베르크(Kraftwerk), 베를린 비엔날레의 전시 공간 중 한곳으로 쓰이는 KW 인스티튜트도 있습니다. 베를린 미술여행은 1주일의 시간도 부족하게 느껴졌습니다.


미스 반 데 로에의 마지막 걸작, 신국립미술관


원어민강사


미스 반 데 로에의 걸작 신국립미술관. ©김슬기



신국립미술관은 베를린의 가장 유명한 건축물 중 하나입니다. 극단의 효율성을 추구하는 수직과 수평의 격자로 만들어진 이 모더니즘의 도시에 가장 잘 어울 티머니 현금화 리는 미술관이기 때문입니다.

신국립미술관은 모더니즘 건축의 아버지로 불리는 건축가 루트비히 미스 반 데 로에(1886~1969)의 유작입니다. 세계 2차대전으로 미국으로 이민을 간 그가 조국 독일을 위해 설계한 최초의 건물이자, 마지막 건물인 셈입니다.
1962년 서베를린에 20세기 미술 컬렉션을 전시 취득세 계산 할 새로운 박물관 건물을 설계하라는 의뢰를 받았습니다. 1965년 9월, 건축가는 초석을 놓기 위해 이 도시에 왔습니다. 2년 후, 그는 건설의 클라이막스인 거대한 강철 지붕을 유압식으로 들어 올리는 현장에도 참석했습니다.
기둥이 없는 열린 공간을 만드는 것에 대한 그의 오랜 집착은 박물관의 유리 홀 디자인에서 절정에 달했습니다. 1층을 급여계산기 로비와 열린 공간으로만 채운 과감함과 내부에서 유리와 철제가 만드는 기하학적인 패턴을 보면, 혀를 내두르게 됩니다. 그가 남긴 격언처럼 가장 단순한 것이 가장 아름다운 법(Less is more)입니다.
건축가는 건물 개관 직후 사망했습니다. 검은 강철 지붕의 우아하고 소박한 미술관 하나를 남기고서 말이죠. 박물관은 당시 서베를린의 가장자 저축은행고금리 리에 위치해 있었습니다. 지금의 확장된 문화 포럼은 동베를린과 서베를린을 가르는 경계 위에 세워진 셈입니다.



모더니즘 건축의 완벽한 표본. ©Neue Nationalgalerie



이 건물은 1968년 9월 15일에 문을 열었으며 ‘Neue Nationalgalerie’라는 이름은 낡은 것에서 벗어나 서독의 문화적 재탄생을 시작한다는 아이디어를 담고 있습니다. 도시는 급격한 변화를 겪었음에도 이 건물의 건축 구조는 그 이후로 거의 변하지 않았습니다.

개장 이후 50여년 동안 사용된 국립미술관은 2015년부터 2021년까지 대대적인 개조 및 현대화를 거쳤습니다. 이 과정을 책임진 인물이 데이비드 치퍼필드죠. 서울의 랜드마크가 된 아모레퍼시픽 사옥으로 익숙한 프리츠커상 수상 건축가입니다. 거장을 향한 존경을 담아 뼈대만 남기고 내부를 다 뜯어고치면서도 외관에는 변화를 주지 않았습니다.
건물이 증축되지 않은 덕분에 수장고와 전시 공간은 포화상태입니다. 또 다른 건축 거장 헤어초크&드뫼롱은 분관의 설계를 맡아 미술관의 확장을 이끌고 있습니다. 독일의 건축 거장 세 사람이 만나는 공간으로 다시 태어납니다. 이 미술관이 완성될 때, 베를린을 다시 찾고 싶습니다.



신국립미술관은 카페가 무척 예쁘다. ©Neue Nationalgalerie




가장 독일적인 화가, 게르하르트 리히터





Gerhard Richter [Atelier], 1985 ©김슬기



신국립미술관은 20세기 미술에 전념하는 박물관입니다. 2023년부터 소장품전으로 1945-2000 국립미술관 컬렉션을 갈무리한 <극한의 긴장감. 정치와 사회 사이의 예술>을 선보이고 있습니다.

독일의 초기 모더니즘을 대표하는 오토 딕스와 게오르크 그로스의 정치 예술과 막스 베크만의 악몽을 마주한 것 같은 작품을 만날 수 있습니다. 아그네스 딘, 리처드 롱, 요셉 보이스 등을 통해 리얼리즘, 추상, 프로파간다, 팝아트, 페미니즘 미술 등을 주제로 독일의 50년 분단 기간의 미술사를 촘촘하게 그려냅니다. 피필로티 리스트의 영상 작업을 마지막으로 전시장을 빠져나오게 됩니다.
소장품전에 더해 두 개의 특별전시도 동시에 진행이 되고 있습니다. 저는 유럽에서의 생활이 길어질수록 현대미술이라는 생태계를 설계하고 지탱하는 곳은 뉴욕과 런던이라는 생각이 점점 짙어지고 있습니다. 비평과 담론은 물론 생산과 소비까지도 이들이 만드는 세계 속에서 우리는 구경꾼으로만 존재합니다. 같은 유럽 내에서조차, 프랑스와 독일의 존재감을 느끼기 힘들 정도입니다.
그런 1극 체제 속에서도 20세기 후반 독일 미술의 존재감을 가장 강렬하게 각인 시킨 예술가가 있습니다. 93세의 거장 게르하르트 리히터(1932~)입니다. 이번 베를린행의 가장 큰 목적인 이 노화가의 마지막일지도 모를 전시를 보기 위해서였습니다.
작가가 신국립미술관에 자신의 작품을 대거 기부하면서 2023년 4월부터 2026년 11월까지 3년에 걸친 특별전 이 마련됐습니다. 이 초장기 전시에 관해서 독일에서는 찬반 의견이 있는 것 같습니다. 하지만 그 나라를 대표하는 화가가 국립미술관의 명당을 차지하고 있는 것이 저 같은 여행자에게는 반가운 일이었습니다.


수용소의 끔찍한 사진은 어떻게 추상화가 됐을까





Gerhard Richter [Birkenau], 2014 ©Neue Nationalgalerie





아우슈비츠-비르케나우 수용소에서 촬영된 사진 ©김슬기



2009년 리히터의 역대 최대 규모 회고전 를 퐁피두 센터에서 관람한 적이 있습니다. 이 전시를 보려고 베를린 여행 후 귀국 길에 파리행 비행기 티켓을 따로 끊었을 정도로 보고 싶었던 전시였죠. 작가의 스펙트럼 전체를 보여준 과거 회고전 전시에 비하면, 신국립미술관의 전시는 규모가 크지 않고 미시적 주제를 탐구합니다. 작가가 만년에 사로잡힌 주제를 보여주는 전시라고 할 수 있습니다.

전시장 입구에는 작가의 가장 큰 추상화로 알려진 삼면화 <아틀리에>가 관람객에게 인사를 건넵니다. 대표작은 일부만 전시되고 있었습니다. 세 구역으로 구획된 공간의 좌측 공간에는 사진회화 (1989) 등 일부가 걸려있었습니다. 우측 공간에는 색상표 작업인 <4,900 Colors>(2007), (2013/2016)과 추상화 대표작이 걸려있습니다. 이 전시의 하이라이트는 가운데 공간을 통째로 차지하는 4점의 추상화 연작 <비르케나우(Birkenau)>(2014)입니다.
비르케나우는 아우슈비츠-비르케나우 수용소에서 촬영되어 유출된 4장의 사진을 바탕으로 한 작업입니다. 수용소에 스며드는 햇살을 담은 비극이 표백되어 버린 듯한 풍경, 시신을 소각하는 소각장 등이 선명하지 않은 포커스로 촬영된 사진입니다.
작가는 목탄과 유화 물감으로 4개의 캔버스에 이 사진을 바탕으로 구상화를 그렸습니다. 그리고 이 이미지를 지워버리죠. 물감을 덧칠할 때마다 원래의 묘사는 조금씩 사라졌고 결국 보이지 않게 되었습니다. 4점의 비르케나우 캔버스는 맞은편에 위치한 4개 대형 거울 연작 와 나란히 설치됩니다.
이 방으로 들어선 관람객은 홀로코스트의 비극을 기억하는 예술을 마주 보고, 그 거울에 반사된 작품을 다시 한번 보게 됩니다. 아마도 이 베를린의 미술관에서 영원히 기억되고 전시될 ‘속죄의 회화’가 이 방에서 탄생하는 셈입니다.
평전을 위르겐 슈라이버는 그를 “기교적인 색채를 화려하게 사용하면서도 덧없는 것을 그리는 화가다. 그는 관람객들을 고통의 증인으로 세운다”고 평가합니다. 이 방에 들어서는 모든 관람객은 이 잊히지 않을 비극의 증인이 될 것입니다.
1961년 동독을 탈출해, 자유로운 서독에서 화가로서의 만개한 예술가였습니다. 이력과 흡사하게도 그는 평생 회화와 비회화, 구상과 추상이라는 경계를 넘나드는 작업을 해왔습니다. 가장 독일적인 예술을 해온 작가라도 해도 무방할 겁니다.
수십 년 동안 리히터는 사진을 기반으로 한 최초의 흐릿한 회색 그림에서 시작해 다채로운 추상화에 이르기까지 혁명적인 변신을 거듭해왔습니다. ‘회화의 죽음’이 선포된 시기에 회화를 부활시키려는 노력을 거듭해온 것이 그의 작업이었죠. 2017년 은퇴를 선언했던 작가가 이를 번복하며 2022년 90세를 맞아 연 전시에서 선보인 신작 도 만났습니다. 유리 페인트를 종이에 흘려 부어 만든 작은 크기의 소품 연작이었습니다.
☞기사 바로가기
유리를 캔버스 대신 사용한 추상은 과거에도 그가 시도했던 작업입니다. 유리의 뒷면에 물감을 흘리거나 그려서 이미지를 만들고 뒤집어서 전시함으로써 회화의 표면에 관한 탐구를 했습니다. 이 신작에서 그는 종이에 물감을 부어서 흐르게 만드는 정반대의 시도를 합니다. 회화 예술의 새로운 길을 제시한 거장의 유언을 보는 것 같았습니다.



사진 회화의 대표작 [Squatters’ House], 1989 ©김슬기





은퇴 선언 후에 선보인 신작 [Mood], 2022 ©김슬기




아픈 과거와 환희의 순간들, 사진과 영화 속으로





낸 골딘의 영화 속의 한 장면. 친구들과 즐거운 한 때를 보내고 있다. ©Neue Nationalgalerie



신국립미술관의 1층 실내에는 6개의 텐트처럼 보이는 작은 건축물이 세워졌습니다. 건축가 할라 바르데(Hala Wardé)가 설계한 공간으로 6편의 영상 작업을 각각 상영하는 아주 작은 영화관입니다. 낸 골딘(1953~의 회고전은 2022년 스톡홀름에서 시작해 암스테르담을 거쳐 베를린에 왔고, 이후에는 밀라노와 파리로 떠나는 무려 4년에 걸친 여정을 이어가고 있습니다.

베를린을 가장 사랑하는 도시라고 했던 이 미국 예술가의 회고전은 제한된 입장으로 인해 매시간마다 긴 줄이 늘어설 만큼 인기가 있었습니다. (4월 6일까지)이라는 제목은 어둡고 불길한 예감이 들기도 하지만, 전시는 아이러니하게 유머와 따뜻함으로 가득 차 있었습니다.
“나는 언제나 영화를 만들고 싶었다”고 고백하는 이 예술가가 평생에 걸쳐 찍은 사진 슬라이드와 음악으로 만들어진 영화들이 흘러나옵니다. 누드, 섹슈얼리티, 자살, 가정 폭력 및 마약과 같은 자극적인 주제를 거침없이 다룹니다.



할라 바르데가 만든 6개의 공간. 어두운 방에서 낸 골딘의 영화를 만나게 된다. ©Neue Nationalgalerie



어두운 밀실 같은 공간에서 우리는 퀴어 커뮤니티와 예술가 친구들과의 친밀한 모습을 담은 영화부터, 마약에 빠진 이들을 비추는 영화, 성적 정체성을 발견하기 이전의 어린이들의 세계를 관찰한 영화 등을 만나게 됩니다.

공간적으로는 1970년대부터 현재까지 프로빈스타운, 뉴욕의 로어 이스트 사이드, 베를린, 런던에서의 삶을 찍은 이 사진들은 한 시대의 기록이기도 합니다. 낸 골딘은 뉴욕의 클럽과 공공 장소, 유럽의 영화관 및 영화제에서 이 슬라이드쇼를 선보이기 시작했죠.
가장 인상적인 필름은 가족과 자살의 트라우마를 고백하는(2010–2022)입니다. 내밀한 고백처럼 보이는 이 작품은 이 예술가의 삶을 더욱 깊이 이해하게 해줍니다.


길거리의 그려진 ‘노란 바나나’의 비밀





토마스 바움가르텔의 ‘바나나’가 갤러리 옆에 그려져 있다. ©김슬기



베를린은 런던 못지않은 거리 예술의 도시입니다. 그래피티를 어디서나 볼 수 있습니다. 소규모 화랑과 카페, 맛집이 몰려 있는 로젠탈러 플라츠 인근에서는 갤러리나 미술관 벽에 그려진 바나나를 자주 볼 수 있었습니다.

이 그래피티는 토마스 바움가르텔(Thomas Baumgärtel)의 거리 예술입니다. 1986년부터 그는 뉴욕, 베이징, 베를린 등 전 세계에서 미술관과 공연장에 바나나를 그리고 있습니다. ‘예술의 자유’를 상징한다는 이 노란 바나나들을 베를린에서 만날 때 마다 자꾸 웃음이 나왔습니다. 그의 별명이 ‘바나나 분무기’라고 하는군요.


런던에 살면서 유럽 미술관 도장 깨기를 하고 있습니다. 매일경제신문 김슬기 기자가 유럽의 미술관과 갤러리, 아트페어, 비엔날레를 찾아가 미술 이야기를 매주 배달합니다. 뉴스레터 [슬기로운 미술여행]의 지난 이야기는 다음 주소에서 만날 수 있습니다. https://museumexpress.stibee.com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접속자집계

오늘
1,361
어제
1,280
최대
3,171
전체
1,707,346
 |  개인정보처리방침 |  이용약관 |  모바일버전 ↑TOP
고객센터:070-4351-6736 | E-mail:winjswin@hanmail.net
(주)포스트에코존 | 대표이사:원미선 |사업자번호:582-86-00807 | 통신판매업신고번호: 제2014-서울강동-0239호 | 출판사신고번호: 제 2018-000006호
서울특별시 강동구 양재대로 1393, 2층 215호(성내동)
Copyright © PAPATOON.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