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편집자주] 기후변화는 인류의 위기다. 이제 모두의 '조별 과제'가 된 이 문제는, 때로 막막하고 자주 어렵다. 우리는 각자 무얼 할 수 있을까. 문화 속 기후·환경 이야기를 통해 기후변화에 대한 관심을 끌고, 나아갈 바를 함께 고민해 보고자 한다. 울산 동구 일산해수욕장 앞에 제작 중인 모래 조각 작품 '고래 가족의 여행' ⓒ 뉴스1 (서울=뉴스1) 황덕현 기후환경전문기자 = 모래 위를 스치는 바람과 물결은 흔적을 남기지 않는다. 그러나 작가의 손끝에서 태어난 모래조각은 잠시 그 자리에 머물며 말을 건넨다. 젓가락 하나로 빚어진 바다거북이와 고래의 형상은 곧 허물어질 운명이지만, 그 안에 담긴 메시지는 오래도록 남는다. ‘사라지는 조각’ 속에는 사라져선 안 될 경고가 있다. 모래 속에 담긴 목소리는 오래 남아 주변에 기후·환경 위험을 알린다.국내 모래조각 선구자인 김길만 작가는 최근을 주제로 한 작품을 공개했다. 누구나 자유롭게 감상할 수 있는, 열린 형태의 공공예술이다.김 작가는 미술을 전공하지 않았다. 가난으로 중학교 시절, 미술학원 한 달 다니지 못했지만 1987년 친구와 들른 해운대 백사장에서 평생의 작업을 시작했다. “돈이 들지 않는 예술”은 그에게 유일한 캔버스였고, 바닷가는 작업실이자 스승이었다.김 작가는 조소용 조각칼 대신 나무젓가락을 사용한다. 1990년 무렵, 한 아이가 핫도그를 먹고 버린 젓가락에서 영감을 얻은 뒤 지금까지 같은 도구를 쓴다. "직선을 표현하기에는 금속 도구가 좋지만, 곡선은 젓가락이 훨씬 정밀하다"는 게 그의 설명이다. 젓가락 하나로 그는 여성의 머릿결, 해마의 눈망울까지 조각한다.최근 김 작가는 해양 생태계 보호 메시지를 담은 작업에 집중하고 있다. 고래 작업에 앞서 3월에는 기장 임랑해수욕장에 멸종위기종인 바다거북을 형상화했다. 김 작가는 "거북이 한 마리가 플라스틱 쓰레기를 피할 수 없다는 사실을 알게 된 순간, 예쁜 조각만 할 수 없었다"고 말했다.그의 모래는 곧 사라질지도 모른다. 바람이 불면 무너지고, 파도가 덮치면 흔적도 없이 사라진다. 하지만 김 작나는 2005년 독일에 첫 발을 디딘 뒤 한국을 오가다가, 2016년부터 아예 독일에서 살고 있다. 그런데 지난해 말 윤석열 대통령의 계엄령 선포 이후 독일 주재 한국인모임에서 이를 두고 회원들 간 다른 의견들이 치열해져 반박과 탈퇴가 일어나는 상황을 목격했고, 결국 그 모임에선 정치적 대화를 금지하기 시작했다. 그러나 독일의 다른 모임들은 그렇지 않았다. 왜인지 궁금해 상황을 취재했다. <기자말>[서정은 기자]예전에 한국에 갔을 때, 고등학교 동창 모임에서 선거 이야기가 잠깐 나온 적이 있다. 그런데 누군가 "여기서 왜 정치 얘기를 하고 그러느냐"며 불편해 했다. 그 순간 대화는 그대로 끊겼고, 분위기는 금세 어색해졌다. 오랜만에 참석한 동창회에서의 그 머쓱한 분위기가 아직도 인상 깊게 남아 있다. 그 후 독일에 돌아와서도 여러 질문이 떠올랐다.때와 장소를 가리지 않고 정치 이야기만 하는 건 문제지만, 정치 대화를 나눌 만한, 알맞은 때와 적절한 장소를 구분하라는 말은 더 문제인 것 같다. 상대가 정치 대화를 할 만한 사람인지 봐가면서, 분위기 봐가면서, 눈치껏 맞춰야 한다는 게 어디 쉬운 일인가 말이다.때와 장소 가리라고? 독일에선 다르다▲ 윤 탄핵심판 선고기일, 주변 학교 휴업긴장감이 높아지는 서울 종로 풍경. 헌법재판소의 윤석열 대통령 탄핵 사건 선고일인 4일 서울 종로구 헌법재판소 인근 6개 학교가 만일의 사태에 대비, 휴업에 들어간다. 지난 2일 오후 학생들이 경찰이 진공상태로 만든 안국역 사거리를 건너가는 모습.ⓒ 이정민 아마 한국에서 정치 이야기를 민감하게 여기는 경향은, 근현대사를 비롯해 한국사가 매우 치열하기도 했고, 그 사이 정치적인 다툼과 갈등이 번진 아픈 경험 때문일 테다. 그렇기에 많은 이들이 정치적 대화를 민감하다며 피한다. 작년 12월 3일, 윤석열 대통령이 비상 계엄령을 발표한 이후 그 양상은 더 심하고 복잡해졌다. 계엄 선포는 해외에 살면서, 나같이 정치에 관심 없던 사람에게조차 그 자체로 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