네이버매크로
삼성, 車MLCC 올 매출 1조 전망 LG, 테슬라에 카메라 공급 추진삼성전기와 LG이노텍 등 전자부품 업체들이 자동차 시장 공략에 사활을 걸고 있다. 삼성전기는 올해 차량용 적층세라믹커패시터(MLCC)에서만 1조2000억원 매출을 올린다는 계획을 세웠고, LG이노텍은 차량용 카메라 모듈과 차량용 반도체 등을 미래 성장동력으로 삼아 관련 투자를 늘리고 있다. 스마트폰 부품 시장 성장세가 꺾이자 신시장인 자율주행 등 자동차로 눈을 돌린 것이다.4일 전자업계에 따르면 국내 주요 증권사는 삼성전기의 올해 차량용 MLCC 매출이 1조2000억원에 이를 것으로 전망했다. 9800억원이었던 작년보다 20% 이상 증가하는 규모다. 예상대로 되면 삼성전기의 차량용 MLCC 점유율은 22%로 높아져 일본 무라타제작소에 이어 세계 2위에 오르게 된다. 삼성전기의 차량용 MLCC 점유율은 2022년 4%, 2023년 13%, 지난해 20%로 가파르게 상승하고 있다.전자 부품사들이 모빌리티에 힘을 주는 건 스마트폰 시장에 더 이상 큰 폭의 성장세는 없을 것이란 판단 때문이다. 그동안 삼성전기와 LG이노텍은 스마트폰에 들어가는 부품 증가와 가격 인상에 힘입어 고속 성장했지만, 2022년부터 꺾이기 시작했다. 삼성전기와 LG이노텍의 지난해 영업이익은 나란히 7000억원 안팎으로 2022년(1조2000억원 안팎) 대비 40%가량 줄었다.업계 관계자는 “삼성전자와 애플이 2018~2019년 스마트폰에 ‘트리플 카메라’ 시스템을 도입한 이후 내장되는 카메라 개수가 늘지 않았다”며 “스마트폰 업체들이 인공지능(AI) 등 소프트웨어에 집중하면서 부품사들이 설 땅이 좁아지고 있다”고 설명했다. 미국의 ‘관세 폭탄’으로 부품 가격 인하 압박이 커질 것이란 점도 부담이다. 애플과 삼성전자의 스마트폰 생산시설은 도널드 트럼프 미국 정부가 고율의 관세를 매긴 중국과 베트남에 터를 잡았다.모빌리티는 정보기술(IT) 부품사들이 저성장을 탈피할 유일한 분야로 꼽힌다. 연간 자동차 판매량이 8900만 대(지난해 기준)에 달하는 데다 적용되는 전자 부품 수가 빠르게 늘고 있어서다. 자율주행차에 들어가는 MLCC는 내연기관 차량의 네 배에 달하는 1만 개에 이른다. 업계 관계자는 “중국이 차량용 MLCC 기술을 확보하지 못한 것도 삼성전기가 자동차로 눈을 돌리는 데 영향을 미쳤다”고 말했다.LG이노텍은 주력인 카메라 모듈 납품처를 모빌리티로 넓히는 동시에 차량용 조명, 배터리 관리 시스템, 통신 모듈 등에도 뛰어들었다. 핵심 타깃은 테슬라다. 테슬라 전기차에 장착되는 카메라는 6개 이상으로 일반 차량보다 두 배가량 많다.삼성, 車MLCC 올 매출 1조 전망 LG, 테슬라에 카메라 공급 추진삼성전기와 LG이노텍 등 전자부품 업체들이 자동차 시장 공략에 사활을 걸고 있다. 삼성전기는 올해 차량용 적층세라믹커패시터(MLCC)에서만 1조2000억원 매출을 올린다는 계획을 세웠고, LG이노텍은 차량용 카메라 모듈과 차량용 반도체 등을 미래 성장동력으로 삼아 관련 투자를 늘리고 있다. 스마트폰 부품 시장 성장세가 꺾이자 신시장인 자율주행 등 자동차로 눈을 돌린 것이다.4일 전자업계에 따르면 국내 주요 증권사는 삼성전기의 올해 차량용 MLCC 매출이 1조2000억원에 이를 것으로 전망했다. 9800억원이었던 작년보다 20% 이상 증가하는 규모다. 예상대로 되면 삼성전기의 차량용 MLCC 점유율은 22%로 높아져 일본 무라타제작소에 이어 세계 2위에 오르게 된다. 삼성전기의 차량용 MLCC 점유율은 2022년 4%, 2023년 13%, 지난해 20%로 가파르게 상승하고 있다.전자 부품사들이 모빌리티에 힘을 주는 건 스마트폰 시장에 더 이상 큰 폭의 성장세는 없을 것이란 판단 때문이다. 그동안 삼성전기와 LG이노텍은 스마트폰에 들어가는 부품 증가와 가격 인상에 힘입어 고속 성장했지만, 2022년부터 꺾이기 시작했다. 삼성전기와 LG이노텍의 지난해 영업이익은 나란히 7000억원 안팎으로 2022년(1조2000억원 안팎) 대비 40%가량 줄었다.업계 관계자는 “삼성전자와 애플이 2018~2019년 스마트폰에 ‘트리플 카메라’ 시스템을 도입한 이후 내장되는 카메라 개수가 늘지 않았다”며 “스마트폰 업체들이 인공지능(AI) 등 소프트웨어에 집중하면서 부품사들이 설 땅이 좁아지고 있다”고 설명했다. 미국의 ‘관세 폭탄’으로 부품 가격 인하 압박이 커질 것이란 점도 부담이다. 애플과 삼성전자의 스마트폰 생산시설은 도널드 트럼프 미국 정부가 고율의 관세를 매긴 중국과 베트남에 터를 잡았다.모빌리티는 정보기술(IT) 부품사들이 저성장을 탈피할 유일한 분야로 꼽힌다. 연간 자동차 판매량이 8900만 대(지난해 기준)에 달하는 데다 적용되는 전자 부품 수가 빠르게 늘고 있어서다. 자율주행차에 들어가는 MLCC는 내연기관 차량의 네 배에 달하는 1만 개에 이른다. 업계 관계자는 “
네이버매크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