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앵커멘트 】 집권 여당 지위를 상실한 국민의힘 자중지란에 빠졌습니다. 대통령 파면 직후 열린 비상 의원총회에서는 지도부와 탄핵 찬성파를 향한 친윤들의 격앙된 반응이 쏟아졌습니다. "당이 80석이 되는 한이 있더라도 탄핵 찬성파와 같이 할 수 없다", "지도부 차원에서 조치해야 한다"는 말까지 나왔는데, 대책 논의는커녕 내부 분열만 격화하고 있습니다. 정태진 기자가 단독 취재했습니다.【 기자 】 곧바로 비공개로 전환된 국민의힘 의원총회에서는 격앙된 반응이 쏟아졌습니다.한 친윤 의원은 "대통령 탄핵에 찬성한 의원들을 공론화해 지도부 차원에서 조치해야 한다"고 반발했습니다.또다른 중진 의원은 "80석이 되는 한이 있더라도 같은 뜻을 가진 사람들과 가야 한다"며 목소리를 높인 것으로 전해졌습니다.아울러 "총선을 말아먹고 패배한 사람이 와서 또 당대표를 해 결국 윤 대통령이 탄핵된 것 아니냐"며 탄핵 찬성파인 한동훈 전 대표와 친한계 의원들을 직격했습니다.▶ 윤상현 / 국민의힘 의원 - "우리 동료들이 우리 의원들이 대통령 탄핵에 앞장섰습니다. 지금도 분열돼 있습니다. 지금도 저 안에서 같이 못 앉겠다는 사람들이 많습니다."▶ 박덕흠 / 국민의힘 의원 - "이념이 같지 않은 분들은 같이 할 수 없지 않냐, 우리가 큰 선거, 대선 같은 경우에 이길 수 있겠느냐…."한 친윤계 중진 의원도 "기강을 잡아야 한다"고 비판한 가운데, 이를 듣고 있던 한 친한계 의원은 "대통령 파면에도 탄핵 찬성파를 색출하고 있는 것이 현실"이라며 반발했습니다.또다른 친한계 의원은 "당세가 쪼그라져도 자기 자리만 지키려는 것 아니냐"고 비판했습니다.▶ 정태진 / 기자 - "탄핵 기각을 외치던 한 의원은 '우리는 폐족'이라며 '조기 대선에서 이기기 어렵다'고 발언해 당내 반발을 샀습니다. 대통령 파면에도 대책 마련은커녕 당 내부가 분열하고 있는 모습입니다."MBN뉴스 정태진입니다. [jtj@mbn.co.kr]영상취재 : 라웅비 기자 영상편집 : 송지영 그래픽 : 이지연이 기사는 국내 최대 해외 투자정보 플랫폼 한경 글로벌마켓에 게재된 기사입니다.미국 상호관세가 기업 투자와 민간 소비를 위축시켜 세계 경제가 침체에 빠질 것이라는 우려가 확산하고 있다. 관세가 소비자 물가에 전가돼 미국 경제가 스태그플레이션(경기 침체와 물가 상승이 동시에 일어나는 현상)으로 빠져들 수 있다는 전망에 무게가 실린다.◇ 관세 직격탄 맞은 애플·나이키블룸버그통신에 따르면 월가 투자은행들은 상호관세 발표 다음날인 3일(현지시간) 앞다퉈 미국 실질 국내총생산(GDP) 성장률 전망치를 하향 조정했다. 조너선 핑글 UBS 수석이코노미스트는 “2026년까지 미국 인플레이션과 실업률이 상승할 것”이라며 “올해 2분기 연속 마이너스 성장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영국 바클레이스도 올해 4분기 미국 경제가 전기 대비 -0.1% 역성장할 수 있다고 내다봤다.노무라홀딩스는 올해 미국 경제 성장률이 0.6%에 그칠 것이라고 예상했다. 작년 말 예상치인 2.1%에서 크게 줄어든 수치다. 도이체방크와 뱅크오브아메리카(BofA)도 상호관세의 영향으로 미국 GDP 성장률이 1~1.5%포인트 감소할 수 있다고 분석했다. BofA는 지난해 말까지만 해도 미국 경제가 2.4% 성장한다고 예측했다. 시장에서는 상호관세가 사실상 ‘증세’로 작용해 기업 투자와 소비 심리를 위축시킬 것으로 보고 있다. JP모간체이스는 이번 상호관세로 6600억달러(약 947조원) 규모의 증세 효과가 발생한다며 “1968년 이후 최대 규모 세금 인상”이라고 평가했다.◇ IMF “세계 경제에 중대 위험”그간 자유무역질서에 기반해 세계로 공급망을 확장해 온 미국 기업들이 이번 상호관세의 최대 피해자가 될 것이라는 평가다. 세인트루이스연방준비은행에 따르면 미국 GDP에서 수입이 차지하는 비중은 1947년 3.1%에서 지난해 13.9%로 네 배 이상 확대됐다. 애플, 나이키 등 미국 대표 기업이 생산기지를 노동력이 저렴한 중국 베트남 등으로 이전하면서 수입 비중이 늘어난 것이다. 트럼프 행정부가 중국(34%)과 베트남(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