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주주의가 살아있음을 느꼈다” 4일 서울 용산구 한남동 관저 인근에서 탄핵에 찬성한 시민들이 환호하고 있다. 연합뉴스 4일 서울 종로구 헌법재판소 앞 탄핵 찬성 집회에 참여한 장대성씨(22)는 “이번 계엄 사태 이후 매주 거리에 나왔다”며 “헌재의 한마디 한마디에 진짜 눈물이 났다”고 말했다. 윤석열 대통령 탄핵이 인용하는 순간 곳곳에서 “와! 이겼다”라는 환호성이 터져 나왔다. 시민들이 서로 부둥켜안고 기쁨을 나누는 모습이 곳곳에서 목격됐다. 반대로 윤석열 대통령 지지자들은 헌재가 정치적인 판단을 내렸다면서 고성을 지르는 등 격렬한 반응을 보였다.헌재 앞은 이른 아침부터 인파로 가득 찼다. 윤석열 대통령의 탄핵 심판 선고를 앞두고 시민들은 긴장과 기대 속에 모여들었다. 탄핵 찬성 집회 참가자들은 '윤석열을 파면하라', '내란동조 국민의힘 해체하라', '내란수괴 즉각파면' 등 구호를 외쳤다. 헌재의 결정이 임박하자 순간 정적이 흘렀다. 오전 11시22분 문형배 헌법재판소장 권한대행의 입에서 “피청구인 대통령 윤석열을 파면한다”는 주문이 흘러나오자 희비가 엇갈렸다.서울 관악구에 사는 임정현씨(20)는 “국가가 희망차게 다시 나아갈 수 있다는 생각에 벅찬다”며 “다시 한번 민주공화국으로 거듭날 수 있다는 희망이 생겼다”고 했다. 박연명씨(47)씨는 “탄핵 소추가 된 시점부터 민심은 이미 돌아섰다”며 “솔직히 결과를 예상했다”고 말했다. 오채은씨(24)는 “힘든 겨울을 보내고 진정한 봄이 온 것 같아서 기쁘다. 가짜뉴스가 사람들을 현혹하지 않는 세상이 됐으면 좋겠다”며 눈물을 흘렸다. 헌법재판소의 윤석열 대통령에 대한 탄핵심판 선고일인 3일 서울 종로구 헌법재판소 인근에서 탄핵 반대 세력이 집회를 벌이고 있다. 2025.4.4. 강진형 기자 반면 탄핵 반대 집회의 일부 참가자들은 욕설과 고성을 내뱉는 모습을 보였다. 박진규씨(72)는 “이 나라는 끝났다. 북한과 중공의 지배하에 들어갔다”며 “얼마나 피해를 보고 살아야 할지 암담하다”고 한탄했다. 60대 남성은 “뭘 묻냐”며 소리를 버럭 질렀고, 20대 남성은 문 권한대행을 향해 “저 자식 뭐야”라고 막말을 퍼부었다.태극기 들고 있던 20대 여성은 “어이가 없다”며 “말도 안 되는 판단이 내려졌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3일(현지시간) 플로리다에서 주말을 보내기 위해 워싱턴 백악관을 나서면서 취재진을 만나고 있다./AFPBBNews=뉴스1 2일(현지시간)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보편·상호관세를 발표한 뒤 국정 지지도가 하락한 것으로 나타났다. 정치 전문가들은 내년 상원 중간선거에서 공화당이 역풍을 맞을 수 있다고 전망했다.3일(현지시간) 공개된 로이터통신과 여론조사업체 입소스 설문에 따르면 트럼프 대통령의 국정 지지도는 43%로 집계됐다. 설문은 지난달 31일부터 3일 간 미국 성인 1486명을 대상으로 실시됐다. 관세 발표 이후 여론은 일부만 반영됐다. 로이터통신은 일주일 전보다 2%포인트 하락했다면서 지난 1월 2기 행정부 취임 후 가장 낮은 수치를 기록했다고 설명했다. 취임 직후 국정 지지도는 47%였다. 이번 설문 기간 트럼프 행정부는 '시그널 게이트'로 비판에 휩싸였다. 시그널 게이트는 마이크 왈츠 백악관 국가안보보좌관이 군사기밀을 논의하기 위해 민간 메신저 '시그널' 단체대화방에 실수로 기자를 초대하면서 불거진 사건이다. 조사 마지막 날에는 보편·상호관세가 발표됐다. 이번 설문에서 로이터는 상호관세에 앞서 공개된 자동차 관세로 인해 주변인들이 피해를 입을 것 같냐는 질문을 넣었다. 이 질문에 그렇다고 답한 비율은 52%였다. 또 로이터는 트럼프 대통령의 경제 정책에 관한 지지 여부를 물었는데, 지지한다고 답한 응답자는 37%에 불과했다. 트럼프 대통령의 물가안정 정책을 지지한다는 답변 비율은 30%로 더 낮았다.이번 트럼프 대통령의 관세 조치는 급격한 물가 상승으로 이어질 것이라는 게 전문가들의 중론이다. JP모건은 이번 관세 조치에 대해 "1968년 세입법 이후 가장 큰 세금 인상"이라며 "그 자체로 경기를 침체에 빠트릴 위험이 있다"고 평가했다.특히 전임 조 바이든 대통령이 재선 도전에 실패하고 민주당이 정권을 내준 주요 이유는 물가를 비롯한 경제 문제였다. 상대적으로 경제 문제에 있어 기대감이 컸던 트럼프 대통령이 경제 안정 포부와 달리 오히려 물가 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