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필수 의약품', 상호관세 적 > 자유게시판

본문 바로가기
사이트 내 전체검색


회원로그인

포인트충전
자유게시판

'필수 의약품', 상호관세 적

페이지 정보

작성자 작성일25-04-03 16:28 조회22회 댓글0건

본문

'필수 의약품', 상호관세 적용 품목서 제외…면세 적용 범위 모호해 의견 분분"'캐나다·멕시코 제외' 우회수출로 열려 다행이지만…다른 제제 적용 우려"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2일(현지시간) 워싱턴 백악관 로즈가든에서 열린 ‘미국을 다시 부유하게’ 행사서 상호관세를 발표하는 행정명령 서명식 중 "한국, 일본과 매우 많은 다른 나라들이 부과하는 모든 비금전적 무역 장벽이 어쩌면 최악"이라고 말하고 있다. 2025.04.03 ⓒ 로이터=뉴스1 ⓒ News1 우동명 기자"To avoid adverse impact on public health, essential medical supplies and pharmaceuticals will be excluded from this tariff policy."(공중 보건에 대한 악영향을 피하기 위해, 필수 의료 물품과 의약품은 이번 관세 정책에서 제외한다.)(서울=뉴스1) 장도민 기자 =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발표한 상호관세 대상에서 의약품이 제외됐지만, 국내 제약 및 바이오기업이 아직 불확실성이 해소됐다고 보긴 어렵다는 시각에 무게를 두고 있다.이번 발표가 완전한 제외를 의미하는지, 다른 방식의 제제를 추가로 발표하겠다는 의도인지 등 변수를 판단하기 어렵기 때문이다. 특히 트럼프 대통령이 밝힌 관세 제외 범위가 불분명하다는 점도 대표적인 불확실성으로 꼽힌다. 백악관이 공개한 입장문에 언급한 대로 관세 제외 대상이 '필수 의약품'(essential pharmaceuticals)이라면 일반의약품과 건강기능식품 등은 26% 추가 관세 부과 대상이 될 수 있다.3일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백악관 로즈가든에서 연설을 통해, 기본적으로 수입품에 10%의 관세율을 부과하고 한국에는 26% 등 일부 국가에 대해 상호관세를 적용하겠다고 밝혔다.국가별 관세율을 보면 중국 34%, 유럽연합(EU) 20%, 베트남 46%, 대만 32%, 일본 24%, 인도 26%, 스위스 31%, 인도네시아 32%, 말레이시아 24%, 영국 10%로 책정됐다. 첨예한 갈등을 이어온 캐나다와 멕시코는 대상에서 제외됐다.발표 직후 백악관은 제외된 품목 등을 담은 입장문을 홈페이지에 게시했다. 제외 품목은 지난달 2'필수 의약품', 상호관세 적용 품목서 제외…면세 적용 범위 모호해 의견 분분"'캐나다·멕시코 제외' 우회수출로 열려 다행이지만…다른 제제 적용 우려"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2일(현지시간) 워싱턴 백악관 로즈가든에서 열린 ‘미국을 다시 부유하게’ 행사서 상호관세를 발표하는 행정명령 서명식 중 "한국, 일본과 매우 많은 다른 나라들이 부과하는 모든 비금전적 무역 장벽이 어쩌면 최악"이라고 말하고 있다. 2025.04.03 ⓒ 로이터=뉴스1 ⓒ News1 우동명 기자"To avoid adverse impact on public health, essential medical supplies and pharmaceuticals will be excluded from this tariff policy."(공중 보건에 대한 악영향을 피하기 위해, 필수 의료 물품과 의약품은 이번 관세 정책에서 제외한다.)(서울=뉴스1) 장도민 기자 =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발표한 상호관세 대상에서 의약품이 제외됐지만, 국내 제약 및 바이오기업이 아직 불확실성이 해소됐다고 보긴 어렵다는 시각에 무게를 두고 있다.이번 발표가 완전한 제외를 의미하는지, 다른 방식의 제제를 추가로 발표하겠다는 의도인지 등 변수를 판단하기 어렵기 때문이다. 특히 트럼프 대통령이 밝힌 관세 제외 범위가 불분명하다는 점도 대표적인 불확실성으로 꼽힌다. 백악관이 공개한 입장문에 언급한 대로 관세 제외 대상이 '필수 의약품'(essential pharmaceuticals)이라면 일반의약품과 건강기능식품 등은 26% 추가 관세 부과 대상이 될 수 있다.3일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백악관 로즈가든에서 연설을 통해, 기본적으로 수입품에 10%의 관세율을 부과하고 한국에는 26% 등 일부 국가에 대해 상호관세를 적용하겠다고 밝혔다.국가별 관세율을 보면 중국 34%, 유럽연합(EU) 20%, 베트남 46%, 대만 32%, 일본 24%, 인도 26%, 스위스 31%, 인도네시아 32%, 말레이시아 24%, 영국 10%로 책정됐다.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접속자집계

오늘
1,411
어제
2,009
최대
3,171
전체
1,699,608
 |  개인정보처리방침 |  이용약관 |  모바일버전 ↑TOP
고객센터:070-4351-6736 | E-mail:winjswin@hanmail.net
(주)포스트에코존 | 대표이사:원미선 |사업자번호:582-86-00807 | 통신판매업신고번호: 제2014-서울강동-0239호 | 출판사신고번호: 제 2018-000006호
서울특별시 강동구 양재대로 1393, 2층 215호(성내동)
Copyright © PAPATOON.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