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불어
더불어민주당 송옥주 국회의원 /송옥주 의원실 [더팩트ㅣ화성=유명식 기자] 산불확산예보와 대형산불예보의 정확도를 높이기 위해서는 인공지능(AI)을 갖춘 무인비행장치(UAV)를 이용, 실시간 산불정보시스템을 구축해야 한다는 지적이 나왔다. 국회 농림축산식품해양수산위원회 소속 더불어민주당 송옥주 국회의원(화성갑)은 12일 보도자료를 내 "산불예보에 쓰이는 산악 지형과 임상에 대한 빅데이터는 갱신주기가 20년 이상으로 길어 실시간 정보가 반영되지 않는 데다, 그마저 실제 조사가 아닌 항공사진 분석으로 추론한 정보여서 정확도도 떨어진가"면서 이 같이 주장했다.지난달 22일 산불이 발생한 경북 의성군의 국가산불예보시스템의 산불확산지수는 같은 달 내내 가장 낮은 '시간당 5㏊ 미만'을 줄곧 고수했다.대형산불예보에서도 '경고'나 '주의보'를 볼 수 없었다.하지만 화재 당시 산불진화통합지원본부가 측정한 의성군 일대 산불의 시간당 확산 속도는 시간당 최대 454㏊로, 산불확산예보와는 확연한 차이를 보였다.또 의성군은 같은 달 21~23일 국가산불예보시스템의 일일산불위험예보에서 산불위험지수 상 위험등급이 66~85에 달하는 '높음'으로 꼽았다.대형산불예보도 일일산불위험예보와 전혀 달랐던 것이다.국가산불예보시스템이 대형산불의 확산속도 등을 정확하게 짚어내지 못한 것은 현장의 풍향·풍속·온도·습도 등 실시간 데이터를 반영하지 못했기 때문이라고 송 의원은 설명했다.국가산불예보시스템은 △온도·습도·풍속 등 기상 △침엽수림·혼효림 등 임상 △방위·발화지점·고도분포 등 지형을 토대로 산불위험지수와 산불확산지수 등을 산출해 산불위험 정보를 제공한다.그러나 이 때 쓰이는 임상과 지형 등의 자료는 20여 년 전 전국 산불피해지 126곳을 대상으로 진행한 사례 조사 결과를 토대로 분석한 것이라고 한다.실시간 정보에 취약할 수 밖에 없는 구조적인 문제점을 지니고 있는 셈이다.송 의원은 "AI를 탑재한 무인비행장치를 활용해 발화지점의 실시간 데이(광명=연합뉴스) 권준우 기자 = "얼른 구조가 끝나야 마음이 편할 텐데.."12일 오전 경기 광명시 신안산선 지하터널 공사현장 부근에서 만난 주민 김모(56)씨는 통행금지를 알리는 폴리스 라인을 보며 혀를 끌끌 찼다. 광명 신안산선 공사장 지하 붕괴사고 수색작업 [촬영 홍기원] 김씨는 "새벽에 한 분이 생존해 나왔다는데, 남은 한 분도 무사히 나올 수 있으면 좋겠다"며 "일단 사람 생명부터 확인하고 사고원인이나 후속 대책 등은 그다음에 이야기해야 할 거 같다"고 했다.전날 발생한 붕괴 사고로 광명 양지사거리부터 안양 어린이천문대 앞까지 왕복 6차로 도로 800여m 구간의 통행이 전면 차단돼 있다. 인접한 4층짜리 식당 건물과 교회 부지는 붕괴 지점과 맞닿아 있어 건물 내 출입이 통제됐다.인근 초등학교에는 교육당국 관계자들이 시설물에 대한 긴급 안전 점검을 진행 중이라 어수선한 모습이었다. 사고 현장 바로 옆 아파트 주민들은 전날 때아닌 피난 생활을 해야 했다. 추가 붕괴 우려로 인해 640여가구 2천300명과 오피스텔 주민 144명 등 2천400여명에 대해 주민 대피령이 내려졌던 탓이다.갑작스러운 대피령에 놀란 주민들은 옷가지 등만 겨우 챙겨 들고 친척 및 지인의 집 혹은 시가 지정한 대피소인 시민체육관 등 7곳으로 대피해야 했다. 시가 지정한 대피소로는 총 135가구가 모였던 것으로 파악됐다.다행히 주민대피령은 12일 0시 10분께 해제됐고 구조작업을 위해 차단됐던 도시가스 공급도 대피령 해제 전 재개됐다.이에 따라 대다수 주민은 집으로 발걸음을 돌렸으며 9가구는 혹시나 하는 마음에 낯선 대피소에서 밤을 지새운 뒤 귀가하기도 했다.날이 밝은 뒤 대부분의 주민은 반려견을 데리고 아파트 단지 내를 산책하고 인근 상가 앞을 거니는 등 일상을 회복하는 모습이었다.한 주민은 "어젯밤 안전이 확인됐다는 시의 발표를 믿고 집으로 돌아왔다"며 "아파트 쪽에는 피해가 없다는 게 밝혀져 안심"이라고 말했다.일부 주민들은 아파트 정문 옆으로 설치된 폴리스라인 앞에서 구조작업이 진행되는 것을 조심스레 지켜봤다. 창문을 열고 걱정스러운 표정으로 붕괴 현장을 바라보는 주민도 여럿 목격되기도 했다. 광명 신안산선 공사장 붕괴로 고립된 근
더불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