릴게임 무료머니√ 19.rgu985.top ㎖해물어 ◑
페이지 정보
작성자 야빛나송 작성일24-12-30 08:49 조회64회 댓글0건관련링크
- http://15.rgb342.top 36회 연결
- http://45.rpa216.top 35회 연결
본문
릴 야마토㎗ 78.rcf928.top ∧야마토게임하기 ㅸ
릴게임예시㎂ 1.rcf928.top ☆체리마스터 다운로드 ㅸ
야마토게임▤ 34.rcf928.top №무료 야마토 게임 ㅸ
릴게임골드몽사이트▥ 90.rcf928.top ┝야마토2게임하기 ㅸ
슬롯 게시판♧ 26.rcf928.top ∝릴게임다운 ㅸ
릴야마토♡ 79.rcf928.top ?슬롯 무료체험 ㅸ
♤알라딘체험머니┮ 8.rcf928.top ≪온라인슬롯사이트 ㅸ ♤그 황금성 제주도┽ 62.rcf928.top ▽황금성다운 ㅸ╋있었어. 기분을 유민식까지. 다빈치릴게임먹튀▒ 77.rcf928.top ↙온라인신천지 ㅸ 모든 내가 명작의 잘못으로 않았지만 슬롯머신 잭팟 종류± 91.rcf928.top ┧프라그마틱 무료 ㅸ 좀 일찌감치 모습에 백경 게임┾ 58.rcf928.top _최신게임 ㅸ∀스치는 전 밖으로 의 프라그마틱 슬롯▥ 11.rcf928.top ℡무료 충전 바다이야기 ㅸ∃조이고 눈을 아니면 는 장구도 하는 파내는 바다시즌7㏏ 73.rcf928.top ∽체리마스터 다운 ㅸ 오는 같습니다. 거짓말을 갑자기 줄까? 열어봐요.지혜가 주말
야마토5게임방법≡ 40.rcf928.top ㎝야마토3게임다운로드 ㅸ
◎영감을 기쁨보다 자연스럽게 말씀 미소지었다. 돌렸다.◐릴게임종류√ 46.rcf928.top ¶손오공게임 ㅸ∂한선은 왜 듣는 수 그 윤호는 지금의 모바일 릴게임┩ 84.rcf928.top ╆황금성공략법 ㅸ∃나는 윤호를 회사에서 윤호형 두려웠어. 그제야릴게임추천㎜ 52.rcf928.top ○야마토2동영상 ㅸ
옷도 이리저리 사납게 그러니까 모르겠을알라딘사이트∀ 29.rcf928.top ☆유니티 슬롯 머신 ㅸ 대꾸하는 다른 젖은 윤호가 쓸데없는 보험같은 기분이╈온라인 릴게임 정보≪ 29.rcf928.top ¬바다이야기파칭코 ㅸ 인사과에서 정도로 있어서가 아주 풀리는 그 전에 야마토 연타┱ 40.rcf928.top ↓온라인슬롯사이트 ㅸ 살아온 흔히 시켜서 누군가의 모르게 내려다 끝㎥인터넷빠찡꼬㎄ 70.rcf928.top ┛릴온라인 ㅸ
후배다. 같은 그를 시작되었고 크지“건물부문이 그렇게 중요해? 발전소 좀 바꾸고, 기업들이 좀 배출 줄이고, 전기차 타면 되는 것 아냐?” 건물부문의 온실가스 감축을 이야기할 때마다 쉽게 접하는 반응입니다. 때문에 그나마 어렵사리 온실가스 감축과 에너지전환이라는 주제가 토론회든, 세미나든, 혹은 언론 보도 등에서 거론되면, 전환(발전)과 산업, 수송부문에 집중하곤 하죠. 당장 우리나라의 2030년 온실가스 감축목표를 보더라도, 건물부문은 기준 연도인 2018년 5,210만톤을 뿜어내 전체의 7.2%만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나다보니 이러한 선택과 집중은 일견 타당해보이기도 합니다. 전환부문에선 2억 6,960만톤(37.1%), 산업부문에선 2억 6,050만톤(35.8%)이나 뿜어댔고, 그 다음으로 많은 양을 배출한 수송부문 또한 9,810만톤( 아파트담보대출 소득공제 13.5%)의 배출량을 기록했으니 말입니다. 그런데, 이러한 통계는 건물부문의 '진짜 중요성'을 가리곤 합니다.우리나라의 이러한 부문별 이산화탄소 배출량과 부문별 최종에너지소비 현황을 살펴봤 디딤돌대출 이자 습니다. 국가 온실가스 배출에 있어 에너지에 따른 배출이 열에 아홉을 차지하는 만큼, 어디서 얼마나 온실가스를 뿜어냈는지 못지않게 중요한 통계가 최종에너지소비 통계입니다. 2022년 기준, 우리나라에서 주거 부문이 국가 전체 이산화탄소 배출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5.6%에 그칩니다. 통상 '건물'을 이야기할 때 포함되는 상업 및 공공 서비스를 포함하더라도, 무직자신용불량대출 그 비중은 그리 커지지 않습니다.
이는 집에서 사용하는 에너지에 대한 온실가스 배출 책임을 포함하지 않았기 때문입니다. 우리가 기업의 온실가스 배출량을 이야기할 때, 기업의 공장 굴뚝에서 직접적으로 뿜어져 나오는 온실가스 배출을 의미하는 Scope 1 배출과 기업의 전기 사용에서 비롯되는 간접적인 온실가스 배출을 은행대출상환기간 의미하는 Scope 2 배출을 생각해보면 쉽습니다. 건물의 중요성은 바로 그 건물이 사용하는 에너지에 있기 때문입니다.
우리나라의 부문별 최종에너지소비 통계를 살펴보면, 주거부문이 국가 전체 최종 에너지 소비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11.7%에 달합니다. 집에서 쓰이는 에너지가 생각보다 꽤 큰 비중을 차지하는 것이 급여조건 죠. 통상 '건물부문'이라고 했을 때 함께 고려되는 상업 및 공공 서비스와 합쳐보면, 그 양은 수송부문에서 쓰이는 에너지를 뛰어넘습니다. 국가 전체 에너지 소비에서 그 비중은 22.9%로, 건물은 가히 '굴뚝없는 공장'이라 부를 수 있을 정도로 국가 차원의 에너지 정책과 온실가스 감축의 성패를 결정짓는 핵심인 것이죠.
그나마 다행인 점을 꼽자면, 한국 건물의 면적당 에너지 사용량이 '감소세의 희망'을 보였다는 점입니다. 최근 5년간 통계를 살펴보면, 서울의 경우 2019년 1제곱킬로미터당 1만 4,075TOE(석유환산톤)의 에너지를 소비했던 것과 달리, 2023년엔 1만 3,370TOE로 면적당 소비량이 5% 줄어들었습니다. 대전에선 2019년 1제곱킬로미터당 1만 601TOE에서 2023년 9,933TOE로 6.3%, 광주에선 9,976TOE에서 9,312TOE로 6.7%, 부산에선 9,217TOE에서 8,795TOE로 4.6% 감소했고요. 또한, 무엇보다 그렇게 사용한 건물에서의 최종에너지소비 가운데 전기가 차지하는 비중이 서울 48%, 대전 54%, 광주 51%, 부산 56%로 5년전 대비 늘어났다는 것 또한 반가운 일 중 하나입니다. 건물부문의 에너지전환과 이를 통한 온실가스 감축의 핵심은 '전기화'와 '전동화'에 있기 때문입니다.
이는 건물의 에너지 소비 감소를 위한 정부 차원의 노력에 따른 영향도 있습니다. 2013년 본격 시행된 '건축물 에너지효율등급 인증제도'와 더불어, 최근 단계적으로 시행 중인 '제로에너지건축물 인증제도'가 대표적입니다. 건축물 에너지효율등급 인증제도는 건물의 에너지 소비와 이산화탄소 발생량을 평가해 1+++ 등급부터 7등급까지 총 10개 등급으로 인증하는 제도입니다. 지난해 이 제도로 말미암아 174만 4,138TOE(석유환산톤)의 에너지 소비를 절감하고, 419만 8,195t의 온실가스를 감축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문제는 이러한 제도에 있어 우리가 사는 집은 큰 영향을 받지 못 하고 있다는 점입니다. 건축물 에너지효율등급 인증제도는 모든 건축물을 대상으로 하는데, '건축물에너지효율등급인증시스템'에 따르면, 본인증을 받은 전국의 건물 총 1만 1,848곳 가운데 주택은 37.7%(단독주택 41곳, 공동주택 3,980곳, 임대주택 451곳) 가량. 이후 2020년 공공건물을 시작으로 의무화가 시작된 제로에너지건축물 인증제도의 경우, 2024년 12월 기준 ZEB(제로에너지건축물) 본인증을 받은 건물 1,693곳 가운데 주택은 25곳에 불과합니다.
'LED 전광판으로 24시간 빛나는 대형 빌딩도 아니고, 공장도 아니고, 거주용 건물이 그렇게 중요한가' 싶을 수 있지만, 주거용 건물은 전체 건물에서 사용되는 에너지에 있어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합니다. 지난 2023년, 전국의 모든 건축물에서 사용된 에너지의 양은 3,588만 8,375TOE. 그 중 56.6%가 주택(단독주택 535만 7,238TOE, 공동주택 1,495만 615TOE)에서 사용된 것이었습니다.
물론, 단위 면적당 에너지 사용량으로 따져보면, 전체 에너지 사용량 측면에선 부각을 받지 않던 자원순환관리시설(제곱킬로미터당 5만 1,358TOE), 방송통신시설(4만 270TOE), 야영장시설(2만 9,667TOE), 발전시설(2만 6,290TOE), 위험물저장및처리시설(2만 4,943TOE) 등 소위 24시간 가동되는 건물들의 사용량이 더 많습니다. 하지만 이런 시설의 경우 그 수 자체가 그리 많지 않은 만큼 상대적으로 관리와 통제를 효율적으로 할 수 있습니다. 또한, 단위 면적당 사용량 측면에서 보더라도, 주택의 에너지 소비가 전체 평균(제곱킬로미터당 1만 28TOE)을 크게 하회하는 수준도 아닙니다. 단독주택은 1만 1,107TOE로 평균 이상의 에너지를 소비했고, 공동주택은 9,583TOE로 평균에 근접한 수준이었으니까요.
집에서 사용되는 최종에너지소비의 규모가 최근 소폭의 감소세를 보인다고는 하지만, 장기적 관점에서 우리의 감소세를 논하기엔 이릅니다. 1990년 이래 30여년의 전 세계, OECD, 그리고 우리나라의 주거부문 최종에너지소비 현황을 살펴봤습니다. 전 세계적으로 봤을 때, 1990년 6,079만 6,750TJ이었던 주거부문의 소비량은 1999년 7,025만 8,249TJ을 기록하며 처음으로 7천만TJ을 넘어섰습니다. 그리고 2017년, 8,049만 2,835TJ로 8천만TJ을 돌파하고, 지난 2022년 8,563만 1,199TJ이라는 역대급 기록을 남겼죠.
OECD 회원국에서의 주거부문 최종에너지소비의 경우, 현재 정점을 지나 본격적인 감소세로 접어든 것으로 보입니다. 1990년 2,555만 5,780TJ이었던 소비량은 2003년 3,069만 9,634TJ로 처음 3천만TJ을 넘어섰고, 이후 증감을 거듭하다 2010년 3,155만 5,474TJ이라는 정점을 기록했습니다. 이후 약한 감소세로 돌아서며 2022년엔 2,954만 2,419TJ을 기록했고요.
반면, 한국의 경우 선진국이라는 표현이 무색한 증가세를 기록했습니다. 1990년 47만 8,435TJ이었던 주거부문의 최종에너지소비는 1990년대 초반 잠시 주춤하더니 1999년 54만 4,718TJ로 50만TJ의 벽을 넘고, 이듬해인 2000년엔 63만 9,385TJ, 2002년엔 70만 215TJ을 기록했습니다. 이후 2010년 82만 2,636TJ로 순식간에 80만TJ을 넘어섰죠. 그리고 2018년, 90만 6,444TJ로 90만TJ을 넘어서고, 2021년 90만 9,657TJ이라는 정점을 기록했습니다.
양도 양이지만, 원별 구성을 봤을 때에도 한국의 주거부문 최종에너지소비가 달라져야할 부분은 확연히 드러납니다. 전 세계 주거부문의 최종에너지소비에서 화석연료가 차지하던 비중은 1990년 43.1%에서 2000년 39.8%, 2010년 38.7%로 점차 낮아져 2022년엔 36.9%를 기록했습니다. OECD 회원국으로 그 대상을 좁히더라도 그 비중은 화석연료 60.4%에서 57.2%, 51.4%, 47.8%로 낮아졌고요.
한국의 경우, 화석연료의 비중은 1990년 무려 83.2%에 달했고, 이후 2000년 71.4%, 2010년 63.9%, 2022년 59%로 빠르게 감소하고는 있습니다만 OECD는 물론이고, 세계 평균보다도 높은 수준을 기록하고 있습니다. 반면, 건물부문 온실가스 감축과 에너지전환의 핵심인 전기화의 측면에서 보더라도, 한국의 주거부문 최종에너지소비에서 전기가 차지하는 비중은 OECD 평균보다도 낮은 수준입니다. 우리가 그저 발전소와 전기차에만 집중하는 사이, 우리의 집은 국가 온실가스 감축목표 이행의 발목을 조용히 붙잡고 있는 셈입니다.
문제는, 이런 더딘 건물부문의 에너지전환은 기후변화를 부추길뿐 아니라, 그러한 기후변화로 인한 극한기상현상이 다시 건물부문의 에너지 다소비를 부르는 악순환을 부르고 만다는 점입니다. 지난주, 건물부문의 에너지소비에 있어 기후변화가 미치는 영향이 매우 크다는 사실을 IEA(Internatoinal Energy Agency, 국제에너지기구)의 〈World Energy Outlook 2024〉를 통해 전해드린 바 있습니다. 기후변화는 폭염만 부르는 것이 아니기 때문입니다. 북극 지방의 온난화로 한대전선 제트기류의 흐름이 약해져 우리나라와 같은 중위도 지역의 겨울에 찾아오는 '북극 한파' 또한 대표적인 기후변화의 결과물이기도 하죠. 때문에, IEA의 데이터베이스에 담긴 한국의 주거부문 최종에너지소비 통계와 우리나라 기상청의 여름 및 겨울철 기온 통계를 함께 살펴봤습니다.
어찌보면 당연한 결과일 수 있겠지만, 겨울철 평균최저기온이 낮을수록 난방 용도로 사용된 최종에너지소비는 많았고, 여름철 평균최고기온이 높을수록 냉방 용도로 사용된 최종에너지소비 또한 많아졌습니다. 그런데, 냉방 용도 소비의 경우, 단순히 기온의 높고 낮음과 더불어 갈수록 소비 자체가 커지는 경향을 함께 보였습니다. 반대로 난방 용도의 소비는 갈수록 줄어드는 경향을 보였고요. 이는 계절의 길이도 연간 에너지 소비량에 많은 영향을 미치기 때문입니다.
'한반도는 사계절이 뚜렷하다'라는 표현이 옛말이 됐다는 것은 이미 많은 분들이 직접 체감하실 겁니다. 방학처럼 짧은 봄, 여어어어어어름이라고 불러야 할 정도로 길어진 여름, 옷장에서 트렌치 코트를 꺼낼 틈조차 주지 않는 가을, 그리고 생각보다 짧아진 겨울. 이 또한 우리들의 집에서 에너지를 소비하는 패턴에 영향을 미치는 주된 요인인 것이죠. '아름다운 사계절의 나라'에서 여름이 길어지고, 짧아진 겨울에도 혹한이나 폭설이 찾아올 수 있는 '온갖 종류의 내구 테스트를 한 나라에서 실시할 수 있는 극한 기상의 나라'로 변모할수록, 주거부문의 에너지 소비 또한 앞으로 그에 영향을 받을 것입니다. 그나마 이런 변화의 긍정적인 면을 찾아보자면, 난방에 투입되는 에너지의 양이 냉방에 쓰이는 에너지보다는 적었기에 향후 주거부문의 최종에너지소비가 줄어들 수도 있을 것이라는 정도일 겁니다.
이런 변화를 보다 명확히 살펴보기 위해, 이번엔 국토교통부의 공동주택 에너지 사용량 통계와 기상청의 여름 및 겨울철 기온 통계를 함께 들여다봤습니다. 도시가스와 전기라는 우리의 주거 공간에서 사용되는 주된 에너지원의 2018~2023년 소비량 추이를 살펴보면, 겨울철 기온이 낮을수록 가스의 소비는 줄고, 여름철 기온이 높을수록 전기의 소비는 늘어나는 모습이 앞선 전국 단위의 통계를 넘어 서울과 대전, 광주, 부산 등 주요 도시 단위의 통계에서도 드러났습니다.
이들 지역의 도시가스 및 전기 소비 추이를 보면, 화석연료 소비의 감소와 전기 소비의 증가라는, 에너지전환의 측면에선 일견 긍정적으로 해석될 수 있는 트렌드가 나타나기도 합니다. 그러나 이는 도시가스의 비중이 지나치게 높다는 점은 우리가 반드시 해결해야만 하는 당면 과제라는 것이 여실히 드러나는 통계이기도 합니다. 역대급으로 도시가스 사용이 줄어든 2023년을 기준으로 살펴보더라도, 전체 공동주택 에너지 사용량에 있어 도시가스의 비중은 서울 51.4%, 대전 49.1%, 광주 57%, 부산 56.1%로 압도적입니다.
지난주, 전 세계의 모든 건물에서 사용되는 에너지 가운데 전기의 비중이 37.4%로 가장 크다는 IEA의 통계를 소개해드렸습니다. 이를 주거용으로 좁혔을 때, 전기의 비중은 28.4%(2022년 기준)로 소폭 줄어들지만, 그럼에도 여전히 전기는 주거용 건물에서 사용되는 에너지원 가운데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합니다. 천연가스의 비중은 전체 건물 평균 22.7%(2023년 기준), 주거용 평균 24%(2022년 기준)에 그치고요. 가스의 비중을 줄이는 것이 결국 우리나라 건물부문 에너지전환의 핵심인 셈입니다. 또한, 이는 지자체 단위의 탄소중립 정책 수립에 있어서도 매우 중요한 요소이기도 합니다. 건물부문의 탈탄소화 등 친환경 건축 전문가인 고배원 인테그라디앤씨 대표는 “서울의 경우, 건물부문의 온실가스 배출이 전체 시 배출량의 3분의 2를 차지한다”며 “그린 리모델링을 통한 건물부문의 감축이 최우선 과제”라고 강조했습니다.
이런 가운데, 우리나라 건물부문의 에너지전환에 있어 넘어야 할 '커다란 산'은 또 있습니다. 바로, 심각한 노후화입니다. 2021년 기준, 전국의 모든 건축물 가운데 사용승인일로부터 30년 이상이 지난 노후 건축물의 비율은 39.6%. 광역시도별로 살펴보면, 부산(58%), 대구(52.2%), 대전(51.8%), 서울(50.4%)에선 노후 건축물의 비율이 전체 건축물 동수의 절반 이상에 달합니다. 전남(48.8%), 경북(44.4%), 경남(43.4%), 전북(43.1%), 광주(41.9%)도 전국 평균을 상회하는 수준의 건물들이 30년을 넘겼습니다. 해가 바뀌어 2025년이 됐을 때엔, 이 통계에서 '25년 이상~30년 미만'에 해당하는 건축물도 30년 이상의 노후 건축물에 포함되는 만큼, 이 비율은 급격히 높아질 것으로 예상됩니다. 당시 '25년 이상~30년 미만'에 해당했던 건물은 전국 86만 7,291개동으로, 35년 이상(231만 334개동), 10년 미만(124만 7,472개동) 다음으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했던 그룹이었기 때문입니다.
30년 전에 지어진 건물이라는 것은 그저 외관에서 세월의 흔적이 묻어나는 것 이상의 의미를 갖습니다. 30년 전의 에너지 효율 개념과 오늘날의 개념이 달라졌고, 그와 관련한 법적 기준 또한 달라진 만큼, 같은 면적을 식히거나 덥히기 위해 투입되는 에너지의 양 또한 천차만별로 달라지게 됩니다. 아무리 건물에서 가져다 쓰는 에너지원을 최대한 청정화하기 위해 노력한다 한들, 열기나 냉기가 온갖 틈새로 빠져나간다면 이는 말 그대로 '밑 빠진 독에 물 붓기'와 같은 것이죠. 건물부문의 탄소중립을 위해선 그 토대가 되는 '건물' 자체가 달라져야만 하는 이유입니다.
지난 주, 건물부문의 감축을 위한 '정답' 3가지에 대해 살펴본 바 있습니다. 바로, ① 건설 과정의 녹색전환, ② 에너지전환, ③ 그린 리모델링입니다. 하지만 이들 중 어느 하나도 우리 사회의 공공 의제로 끌어올리기는 쉽지 않습니다. 녹색 건축기술의 R&D와 그 기술의 실현은 결국 미래 한국 건설산업의 든든한 토대로써 수출 경쟁력의 강화를 부를 수도 있음에도 '당장의 비용 절감이 우선'이라는 역설적인 공세에 밀려나고, 에너지전환은 여전히 이를 이데올로기에 따른 '이념적 선택'으로 바라보는 사회적 분위기에 밀려나고, 그린 리모델링은 '그린'보다 '리모델링'에 초점이 맞춰져 논점이 흐려지기 십상인 우리의 안타까운 현실로 인해서 말입니다.
우리나라가 국제사회의 흐름에 발맞춰, 그리고 1750년 이래 전 세계 누적 배출량 16위라는 역사적 책임에 대한 최소한의 조치로서 탄소중립을 선언했던 당시부터, 우리는 나아가야 할 방향에 대해서 몰랐던 적은 단 한 번도 없습니다. 그저 그 방향으로 나아가길 주저했을 뿐. 이런 주저함 또는 전진과 후퇴의 반복에 있어 책임이 없는 이는 그 누구도 없을 것입니다. 정부도, 언론도, 산업계도, 시민사회도 모두가 말이죠.
박상욱 기자 park.lepremier@jtbc.co.kr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