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럼프 100일] 관세·방위비 청 > 자유게시판

본문 바로가기
사이트 내 전체검색


회원로그인

포인트충전
자유게시판

[트럼프 100일] 관세·방위비 청

페이지 정보

작성자 작성일25-04-27 14:38 조회1회 댓글0건

본문

[트럼프 100일] 관세·방위비 청구서에 대북 외교서 '한국 패싱' 논란도 여전전문가 "새 정부 출범 후 조속한 한미 정상회담 개최가 중요"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AFP=뉴스1(서울=뉴스1) 노민호 기자 = 취임 100일(오는 29일)을 맞는 도널드 트럼프 2기 행정부에서의 한미관계는 아직 무르익지 못하고 있다. 동맹의 견고한 밀착보다는 관세·방위비 청구서와 '트럼프식' 일방적 외교 기조로 '잡음'이 더 큰 모양새다.트럼프 대통령은 강력한 미국을 재건하겠다는 'MAGA'(Make America Great Again)를 기치로 동맹국과의 관계에서도 '불균형'이 있다고 주장하며 이를 해소하겠다는 강력한 정책을 펼치고 있다.한국도 피하지 못한 관세 폭탄…방위비 문제로 '이중고' 예상트럼프 대통령은 먼저 전 세계를 대상으로 '관세 전쟁'을 선포했다. 미국의 핵심 동맹국 한국도 관세 폭탄을 피하지 못했다. 한국은 총 25%의 상호관세 부과 대상이 됐다.90일간의 유예 기간이 종료되는 7월 8일까지 협상의 공간이 마련된 가운데 한미 양국은 지난 24일(현지시간) 미국 워싱턴D.C.에서 '2+2(재무·통상) 협의'를 갖고 관세 문제 해결을 위한 일명 '줄라이 패키지'(July Package)를 마련하기로 했다. 공은 차기 정부로 넘어간 모양새고, 일단 급한 불은 껐지만, '변덕'이 심한 트럼프 대통령의 특성상 언제 또 다른 변수가 발생할지 모르는 상황이기도 하다.여기에 트럼프 대통령은 지난해 10월 조 바이든 행정부 때 체결된 제12차 방위비분담금특별협정(SMA) 재협상이라는 청구서도 곧 던질 것으로 예상된다.트럼프 대통령은 당초 상호관세, 방위비분담금 인상, 알래스카 액화천연가스(LNG) 구매 및 개발 투자, 조선업 협력 등을 묶는 '원스톱 쇼핑'을 제시했지만 최근 기조를 바꿔 '군대 문제'는 별도의 협상 테이블을 차리겠다고 언급했다.일각에서는 트럼프 대통령이 상호관세와 방위비를 분리하는 것이 '더 큰 이익'이 될 것이라는 판단을 내렸을 가능성을 제기한다. '관세 폭탄'에 이어 곧 '방위비 폭탄'이 떨어질 가능성이 있다는 것이다.그는 대선 유세 과정에서 한국이 방위비분담금으로 13조 원을 지불해야 한다고 주장한 바도 있다. 이는 2026년 한국이 지불할 1조 5192억 원보다 약 9배에 해당하는 막대한 금액이다.최상목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이 안덕근 산업통상자원부 장관과 함께 지난 24일(현지시간) 미국 재무부에서 열린 '한-미 2+2 통상협의(Trade Consultation)'에 참석해 스콧 베센트 미국재무장관, 제이미슨 그리어 미국무역대표부(USTR) 대표와 회의[트럼프 100일] 관세·방위비 청구서에 대북 외교서 '한국 패싱' 논란도 여전전문가 "새 정부 출범 후 조속한 한미 정상회담 개최가 중요"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AFP=뉴스1(서울=뉴스1) 노민호 기자 = 취임 100일(오는 29일)을 맞는 도널드 트럼프 2기 행정부에서의 한미관계는 아직 무르익지 못하고 있다. 동맹의 견고한 밀착보다는 관세·방위비 청구서와 '트럼프식' 일방적 외교 기조로 '잡음'이 더 큰 모양새다.트럼프 대통령은 강력한 미국을 재건하겠다는 'MAGA'(Make America Great Again)를 기치로 동맹국과의 관계에서도 '불균형'이 있다고 주장하며 이를 해소하겠다는 강력한 정책을 펼치고 있다.한국도 피하지 못한 관세 폭탄…방위비 문제로 '이중고' 예상트럼프 대통령은 먼저 전 세계를 대상으로 '관세 전쟁'을 선포했다. 미국의 핵심 동맹국 한국도 관세 폭탄을 피하지 못했다. 한국은 총 25%의 상호관세 부과 대상이 됐다.90일간의 유예 기간이 종료되는 7월 8일까지 협상의 공간이 마련된 가운데 한미 양국은 지난 24일(현지시간) 미국 워싱턴D.C.에서 '2+2(재무·통상) 협의'를 갖고 관세 문제 해결을 위한 일명 '줄라이 패키지'(July Package)를 마련하기로 했다. 공은 차기 정부로 넘어간 모양새고, 일단 급한 불은 껐지만, '변덕'이 심한 트럼프 대통령의 특성상 언제 또 다른 변수가 발생할지 모르는 상황이기도 하다.여기에 트럼프 대통령은 지난해 10월 조 바이든 행정부 때 체결된 제12차 방위비분담금특별협정(SMA) 재협상이라는 청구서도 곧 던질 것으로 예상된다.트럼프 대통령은 당초 상호관세, 방위비분담금 인상, 알래스카 액화천연가스(LNG) 구매 및 개발 투자, 조선업 협력 등을 묶는 '원스톱 쇼핑'을 제시했지만 최근 기조를 바꿔 '군대 문제'는 별도의 협상 테이블을 차리겠다고 언급했다.일각에서는 트럼프 대통령이 상호관세와 방위비를 분리하는 것이 '더 큰 이익'이 될 것이라는 판단을 내렸을 가능성을 제기한다. '관세 폭탄'에 이어 곧 '방위비 폭탄'이 떨어질 가능성이 있다는 것이다.그는 대선 유세 과정에서 한국이 방위비분담금으로 13조 원을 지불해야 한다고 주장한 바도 있다. 이는 2026년 한국이 지불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접속자집계

오늘
2,120
어제
2,195
최대
3,171
전체
1,739,478
 |  개인정보처리방침 |  이용약관 |  모바일버전 ↑TOP
고객센터:070-4351-6736 | E-mail:winjswin@hanmail.net
(주)포스트에코존 | 대표이사:원미선 |사업자번호:582-86-00807 | 통신판매업신고번호: 제2014-서울강동-0239호 | 출판사신고번호: 제 2018-000006호
서울특별시 강동구 양재대로 1393, 2층 215호(성내동)
Copyright © PAPATOON.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