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루시(아이비)’가 런던의 클럽 레드 랫에서 노래하고 있다. 루시는 지킬을 만나 새로운 인생을 꿈꾸지만 하이드에게 잔혹하게 살해당하고 만다. (사진제공 | 오디컴퍼니) 사랑마저 사치였던 여인, 무대 위 존엄이 되다 하이드보다 더 선명한 인간의 얼굴, 루시 아이비의 목소리로 피어난 ‘새 인생’의 찬가 신이 되고 싶었던 지킬, 인간을 벗어나고 싶었던 하이드. 그리고 단 한 번만이라도 ‘사람’으로 살고 싶었던 루시. 뮤지컬 ‘지킬앤하이드’는 선과 악의 대결이 도드라진 스토리를 갖고 있지만, 그 안엔 세상에 붙잡혀 끌려 다니는, 그러나 탈출을 간절히 희망했던 한 여인의 이야기가 있다. 이름은 루시. 런던 클럽 레드 랫의 무용수. 사회의 밑바닥 인생에겐 사랑도 사치였다. 그는 사랑이 아닌 희망을 찾고 있었다.루시의 삶은 고단하다. 그가 서 있는 무대 위는 화려하지만, 그 싸구려 빛은 루시의 속까지 비추진 못한다. 허다한 남자의 손길이 그를 스쳐가지만, 단 한 번도 진짜 인간의 온기를 경험해보지 못한 루시는 지킬 박사를 만나 자신이 누군가로부터 존중받는다는 감정을 처음으로 맛본다. 그 감정은 희망이 되고, 희망은 그를 조금씩, 그러나 확고하게 앞으로 밀어낸다. 무대 위에서 그는 더 이상 밑바닥 클럽 댄서가 아니라, 한 사람의 존엄한 존재로 빛을 내기 시작한다.이 복잡하고도 다층적인 감정의 여정을 아이비는 잘 그려냈다. ‘루시’라는 이름 옆에 ‘아이비’라는 배우의 이름이 붙는 순간, 극의 온도가 달라짐을 느꼈다. 아이비는 노래로 연기를, 그것도 능숙하게 펼치는 배우가 됐다. 이런 고급진 느낌은 과거 최정원으로부터 받았던 것이다.루시의 넘버들은 상당히 어렵다. 음역대가 넓고 굴곡이 큰 데다 감정적인 소모가 어마어마해 루시 배우들에겐 고난도의 스키 슬로프처럼 느껴질 것이다. ‘당신이라면(Someone Like You)’의 담담한 고백에서, 벼랑 끝에 까치발을 하고 서서 외치는 ‘시작해 새 인생(A New Life)’까지. 높은 음의 언덕을 거친 숨을 몰아쉬며 오르다가도 이내 감정의 뉘앙스를 살리며 부드럽'진달래와 철쭉, 생강나무와 산수유, 매화와 벚꽃, 원추리꽃과 나리꽃…'꽃을 어느 정도 안다고 생각해도 비슷하게 생긴 꽃들이 나타나면 당황하기 마련이다. 인터넷이 없던 시절에는 두꺼운 도감 책을 뒤적거려야 했지만, 지금은 스마트시대다. 스마트폰 하나로 바로 꽃 이름을 찾을 수 있다. 간편하고 정확하게 꽃 이름을 찾는 법 4가지를 소개한다. 01 다음 검색국내 양대 포털사이트 중 하나인 '다음'은 앱을 통해 꽃 검색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가장 대중적이며 사용법도 매우 간단하다. 다음 앱의 검색창 오른쪽에 붙어 있는 꽃 모양의 아이콘을 클릭한 뒤 꽃 검색을 클릭하면 바로 카메라로 연결된다.이젠 카메라로 꽃을 촬영하기만 하면 된다. 초점을 잘 맞추고, 옆이나 비스듬하게 찍히지 않고 정면이 또렷하게 나오도록 찍는 것이 포인트. 그래야 꽃을 제대로 인식한다. 사진을 찍고 나면 일치할 확률과 더불어 비슷하게 생긴 다른 꽃들도 안내해 준다. 다만 인터넷이 되지 않는 깊은 산중에선 실시간 검색은 할 수 없다. 하지만 사진만 잘 찍어 놓으면 하산한 이후 꽃 검색에서 앨범 불러오기(좌하단) 기능을 사용해 검색할 수 있다. 02 구글 렌즈앱을 설치하는 것에 거부감이 있다면 구글 렌즈를 사용하면 된다. 스마트폰으로 구글 사이트로 이동한 뒤, 검색창 오른쪽 맨 끝에 있는 렌즈처럼 생긴 아이콘을 클릭하면 이미지 검색화면으로 이동한다. 여기서 바로 꽃을 촬영하거나 촬영해 둔 이미지를 업로드하는 방식으로 꽃 이름을 찾아볼 수 있다. 단점은 다른 앱에 비해 정확도가 높지 않고, 해외의 꽃들을 먼저 제시해 준다는 점. 요령이 있다. 구글이 제시해 주는 꽃 이름이 아닌 것 같으면 스크롤을 조금 아래로 내려 국내 야생화 전문가들이 본인들 블로그에 올린 게시물들을 토대로 야생화 이름을 추측하는 것이 훨씬 낫다. 03 모야모인공지능보다는 역시 인간의 지혜를 믿는다면 '모야모' 앱을 추천한다. 모야모는 100만 명 이상의 식물 전문가들과 유저들이 실시간으로 상주해 있는 명실상부 국내 1위 식물 앱이다. 이 앱은 앞서 두 방법과 달리 프로그램이 아니라 사람들이 답해 주는 시스템이다. 네이버 지식인을 생각하면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