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일
5일 오후 서울 종로구 동화면세점 앞에서 열린 대한민국바로세우기국민운동본부(대국본) 주최 ‘4.5 광화문 혁명 국민 대회’에 지지자들이 모여있다. 이영기 기자. [헤럴드경제=이영기·김도윤 기자] 윤석열 전 대통령이 파면된 후 첫 주말 열린 탄핵 불복 집회에서 성토가 터졌다. “탄핵은 사기다“, ”부정선거를 밝혀야 한다“는 반응부터 ”젊은 사람들이 들고 일어날 줄 알았다“는 극단적인 목소리까지 나왔다.5일 오후 대한민국바로세우기국민운동본부(대국본)는 ‘4.5 광화문 혁명 국민 대회’를 열고 헌법재판소의 윤 전 대통령 파면 선고를 강하게 비판했다.이날 집회 현장에는 우산을 들고 비옷을 입고 모인 지지자들이 모여들었다. 지지자들은 “사기탄핵 철회하라” 구호를 연신 외쳐댔다. 이들의 손에는 여전히 태극기·성조기가 쥐어져 있었다.또 이들 가운데에는 ‘사기탄핵 원천무효’, ‘반국가세력 척결한다’ 등 윤 전 대통령 파면에 불복하는 내용의 피켓을 들고 선 이들도 있었다. 이날 집회에는 오후 3시 기준 약 1만5000명(경찰 비공식 추산)의 지지자들이 모였다. 5일 오후 서울 종로구 동화면세점 앞에서 열린 대한민국바로세우기국민운동본부 주최 광화문 혁명 국민 대회에서 전광훈 사랑제일교회 목사가 발언하고 있다. 이영기 기자. 이날 전광훈 사랑제일교회 목사는 “4.19, 5.16 혁명을 준비해야 한다”며 “여기 나온 이들이 각 10명씩 설득해서 국민 모두를 동참하게 해야 한다”고 목소리 높였다.이어 전 목사는 “헌법 위의 국민저항권을 발동해야 한다”며 “윤 전 대통령을 반드시 찾아와야 한다”고 덧붙였다.다가오는 조기 대선을 부정하는 목소리도 이어졌다. 신혜식 신의한수 대표는 급물살을 타고 있는 조기 대선에 대해 “이혼한 다음날 예식장을 잡는 것”이라며 강하게 비판했다.이어 신 대표는 “부정선거가 있는데 어떻게 조기 대선을 이기냐”며 “이제 부정선거를 잡을 일이 남았다”고 성토했다. 5일 서울 종로구 동화면세점 앞에서 대한민국바로세우기국민운동본부 주최 광화문 국민대회가 열리고 있다. [연합] 지지자들은 격한 반응을 보였다. 양주에서 '임대' 붙은 울산대 앞 점포 [촬영 장지현] (울산=연합뉴스) 장지현 기자 = "장사 시작할 때랑 비교하면 유동 인구가 10분의 1로 줄어들었습니다."금요일이었던 지난달 21일 오후 7시 30분쯤 방문한 울산 남구 무거동 바보사거리 디자인거리.이곳은 인근에 울산대학교와 울산과학대학교 캠퍼스가 위치한 울산 최대 대학가다.삼삼오오 모여든 대학생들이 길거리를 가득 채워야 할 개강 철 금요일 저녁이었지만, 거리는 비교적 한산한 분위기였다.밤마다 개강 파티를 여는 신입생들로 성업을 이뤘을 호프집도 끽해야 두세 테이블에 간신히 자리를 채웠다.조명만 켜둔 채 파리를 날리고 있는 가게, 아예 불이 켜지지 않은 점포도 더러 눈에 띄었다. 텅빈 무거동 일대 [촬영 장지현] 골목 곳곳에서도 '임대' 안내문이 붙은 빈 상가가 한 집 건너 한집 꼴로 줄을 지었다.시내버스가 다니는 인근 대로변에는 1층에 위치한 점포 4곳이 연달아 폐업해 쓸쓸한 분위기를 연출했다.한때 울산 최대 상권 중 하나였던 무거동 대학가 상권이 인구 감소로 악화하면서 인근 자영업자들은 시름하고 있다.무거동에서 14년째 분식집을 운영 중인 한 상인은 "처음 점포를 차릴 때와 비교하면 거의 10배 차이가 난다"며 "지금은 그나마 개강 철이라서 좀 낫지만 몇주만 지나면 이조차 기대하기 어려울 것"이라고 하소연했다.근처에서 10년 동안 식당을 운영하는 또 다른 자영업자는 "원래 이 일대 상가는 대부분 1층은 물론 2, 3층까지 꽉 찼는데 이제는 한 건물이 통째로 비어있는 곳도 있다"며 "울산 최고 상권 중 하나라는 명성도 이젠 옛말"이라고 한탄했다. 줄지은 공실 [촬영 장지현] 무거동 일대는 과거 울산대학교를 중심으로 청년층 수요가 있는 음식점, 카페 등 각종 가게가 들어서며 활기를 띠었던 상권이다.남구 삼산동, 중구 성남동과 함께 울산 3대 상권 중 하나로 불렸지만, 최근 경기 악화에 지속적인 인구 감소까지 더해지며 심각한 침체를 겪고 있다.한국교육개발원에 따르면 지난 5년간 울산대 학부 재학생 수는 10% 넘게 줄어들었다.2020년까지만 해도 1만2천명대를 유지했는데, 지난해 1만677명으로 떨어지며 1만명 선을 간신히 지켰다.학생이 줄어든 대학가에서 자영업자들은 버티지 못하고 하나둘 가게 문을 닫고 있다.한국부동산원 '상업용 부동산 임대동향
5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