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주전함야마토게임 ╊ 백경온라인 ╊
페이지 정보
작성자 야빛나송 작성일25-01-09 21:32 조회17회 댓글0건관련링크
- http://92.rnt829.top 14회 연결
- http://35.rcy714.top 14회 연결
본문
릴게임종류 ╃ 릴게임횡금성 ╃∩ 60.rsk311.top ┗사람이 떠나간 서울 용산구 한남3 재정비촉진구역에 고양이들이 남아있다. 한남3구역길고양이친구들 제공
"사람을 기다리는 고양이들을 외면할 수가 없어요. 한 마리라도 더 살리고 싶어요."
지난달 19일 서울 시내 최대 재개발 단지인 용산구 한남3 재정비촉진구역. 이곳에 남은 고양이들을 돌보는 케어테이커 구미애(62)씨와 이진희(42)씨는 사료와 따뜻한 물이 가득 든 가방을 챙겨 들고 재개발구역에 들어갔다. 미로처럼 굽이굽이 좁은 언덕길을 오르자 케어테이커들로 구성된 '한남3구역 길고양이 친구들'이 만든 고양이 급식소가 보였다. 급식소에는 '한남냥이 이사 중! 길고양이들을 경계 밖으로 옮기는 이동 자동차 할부 계산기 밥자리'라는 문구가 붙어 있었다. 구씨와 이씨가 급식소에 도착하자 숨어있던 고양이들은 모습을 드러내고 밥이 준비되길 기다렸다.
길과 주택은 오래 방치된 듯 보였다. 길에는 잡풀이 무성했고, 쓰레기와 유리 조각이 곳곳에 흩어져 있었다. 용산구 한남동 686번지 일대인 한남3구역은 38만6,364㎡에 6,000여 가구 규모의 대단지가 들어설 8000만원 예정이다. 2023년 10월부터 시작된 이주는 95%를 넘어섰다. 2026년 착공, 2029년 입주가 목표다.
사람들은 떠났지만 고양이들은 남겨졌다. 구씨와 이씨에 따르면 이곳에 살고 있는 고양이는 400여 마리로 추산된다. 현재 케어테이커 10여 명이 고양이들을 돌보고 있다. 이들이 이곳을 찾는 이유는 단순히 고양이들에게 밥을 챙겨주기 특수관계 위해서가 아니다. 고양이들의 밥자리를 옮겨 철거 시작 전 공사장 밖으로 빼내기 위해서다. 이씨는 "철거 잔해물에 깔려 죽고 공사장을 나오지 못해 고립돼 죽는 고양이들이 많다는 걸 알고 있다"며 "최대한 많은 고양이를 이주시키려 한다"고 말했다.
사람이 떠난 자리, 남아있는 고양이들
삼성생명주택담보
김정아(왼쪽부터) 카라 활동가, 케어테이커 구미애, 이진희씨가 서울 용산구 한남3구역에서 고양이들의 밥을 챙기고 있다. 고은경 기자
서울 용산구는 최근 한남3구역 내에 고양이 학대는 학자금대출 신청 범죄며 급식소를 훼손시키지 말라는 내용의 현수막을 달았다. 한남3구역길고양이친구들 제공
3일 기준 서울열린데이터광장 사이트를 보면 서울에서만 재개발, 재건축 지역은 770여 곳에 달한다. 전국적으로는 5,000여 곳이 넘는다고 한다. 문제는 사람이 떠난 곳에 남는 동네 고양이들이다. 이들은 영역동물 특성상 살던 곳을 잘 떠나지 않으며 소음이 발생할 경우 오히려 깊은 곳으로 더 숨어버리는 습성이 있어 더 큰 피해로 이어진다.
한남3구역 고양이들의 경우 그래도 운이 좋은 편이다. 케어테이커들과 서울시, 용산구청, 재개발조합이 지난해 여름부터 두 차례 간담회를 갖고 고양이 탈출을 위한 방안을 논의했다. 이들은 철거 시 고양이들의 탈출 유도를 위한 물뿌리기, 가림막 설치 시 생태통로 확보 등의 방안을 마련하기로 했다. 용산구청은 또 뒤늦게나마 지난해 11월 동물보호조례를 개정해 공공급식소 20개를 지원했다. '길고양이 학대는 범죄이며, 급식소를 훼손시키지 말라'는 내용을 담은 현수막도 달았다. 이 지역 고양이들의 중성화가 시급하다는 판단에 지난해 10월 기준 올해 예산까지 끌어다 중성화시킨 고양이는 115마리에 달한다.
서울 용산구 한남3구역 내 살고 있는 고양이가 케어테이커가 다가가자 모습을 드러냈다. 한남3구역길고양이친구들 제공
다만 케어테이커들이 고양이들의 임시보호와 치료를 위해 요구 중인 계류장 설치는 어렵다는 입장이다. 용산구청 관계자는 "계류장을 설치하려면 빈집 등을 활용해야 하는데 안전문제로 인해 허용하기 어렵다"며 "이외에 조합과 케어테이커들의 요구를 잘 조율해 가며 공존의 방안을 찾겠다"고 전했다.
실제 재개발 재건축 지역 고양이 보호를 위해서는 케어테이커뿐만 아니라 지방자치단체, 재건축 재개발 조합, 시공사 모두의 의지가 중요하다. 하지만 실제 현장에서는 담당자의 의지에 따라 지원이나 대책이 달라질 수밖에 없는 게 현실이다. 체계적으로 고양이들을 돕고 싶어도 관련 법적 근거가 없어서다.
재개발, 재건축 지역 고양이 위한 대책 마련돼야
사람은 대부분 떠난 서울 용산구 한남3구역 내 고양이 한 마리가 지나가고 있다. 고은경 기자
동물단체와 케어테이커들은 재개발, 재건축 지역 고양이들을 위한 체계적인 대책이 필요하다고 말한다. 이씨는 "지자체가 재개발사업 초기부터 체계적이고 적극적으로 관여하고, 조합과 시행사가 협조할 수 있도록 기틀을 마련해 주었으면 좋겠다"며 "이와 별도로 케어테이커 교육, 돌봄 가이드라인 배포 등을 통해 올바른 돌봄문화가 확대돼야 한다"고 말했다.
정비구역 내 동물 보호를 위한 조례를 둔 곳은 서울시와 부산시, 경기도 정도다. 서울시 동물보호조례 제25조 제2항을 보면 '시장 또는 구청장은 정비구역 내 동물의 구조와 보호를 위한 노력을 하여야 하며 민간단체 등에 예산의 범위에서 필요한 경비를 지원할 수 있다'고 돼 있다.
케어테이커 이진희씨가 서울 용산구 한남3 재정비촉진구역에서 만난 고양이에게 음식을 건네주고 있다. 고은경 기자
서울 용산구 한남3구역 내 케어테이커들이 마련한 길고양이 집에 고양이 한 마리가 들어가 휴식을 취하고 있다. 고은경 기자
서울시와 부산 해운대구는 관련 매뉴얼도 만들었다. 서울시는 2020년 도시정비구역 시범사업 지역 6곳을 조사한 결과를 바탕으로 '도시정비구역 동물보호활동 매뉴얼'을 발표했고, 부산 해운대구는 지난해 2월 '재개발, 재건축 도시정비구역의 동물보호 매뉴얼'을 만들었다. 여기에는 구가 정비 작업 진행 전 매뉴얼을 사업시행자에게 발송하고 관계기관에 협조 지원을 하도록 하는 내용이 담겼다.
다만 이는 의무가 아닌 권고 사항에 불과하고 아직까지 널리 알려지지 않아 이해 관계자의 적극적인 협조를 받기에는 현실적으로 어려움이 있다는 게 동물단체의 설명이다. 김정아 동물권행동 카라 활동가는 "그럼에도 조례나 매뉴얼은 조합이나 시행사가 협조할 근거가 되므로 있고 없고의 차이는 크다"며 "매뉴얼을 기본으로 하되 현장에 맞춰 적용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김 활동가는 이어 "무엇보다 재개발사업 초기부터 고양이를 자연스럽게 이주시키기 위한 밥자리 이동을 최우선으로 해야 한다"며 "고양이들의 집중 중성화를 비롯해 급식소, 생태통로 설치 등을 위한 예산확보와 이해 관계자들의 소통도 중요하다"고 덧붙였다.
고은경 동물복지 전문기자 scoopkoh@hankookilbo.com
"사람을 기다리는 고양이들을 외면할 수가 없어요. 한 마리라도 더 살리고 싶어요."
지난달 19일 서울 시내 최대 재개발 단지인 용산구 한남3 재정비촉진구역. 이곳에 남은 고양이들을 돌보는 케어테이커 구미애(62)씨와 이진희(42)씨는 사료와 따뜻한 물이 가득 든 가방을 챙겨 들고 재개발구역에 들어갔다. 미로처럼 굽이굽이 좁은 언덕길을 오르자 케어테이커들로 구성된 '한남3구역 길고양이 친구들'이 만든 고양이 급식소가 보였다. 급식소에는 '한남냥이 이사 중! 길고양이들을 경계 밖으로 옮기는 이동 자동차 할부 계산기 밥자리'라는 문구가 붙어 있었다. 구씨와 이씨가 급식소에 도착하자 숨어있던 고양이들은 모습을 드러내고 밥이 준비되길 기다렸다.
길과 주택은 오래 방치된 듯 보였다. 길에는 잡풀이 무성했고, 쓰레기와 유리 조각이 곳곳에 흩어져 있었다. 용산구 한남동 686번지 일대인 한남3구역은 38만6,364㎡에 6,000여 가구 규모의 대단지가 들어설 8000만원 예정이다. 2023년 10월부터 시작된 이주는 95%를 넘어섰다. 2026년 착공, 2029년 입주가 목표다.
사람들은 떠났지만 고양이들은 남겨졌다. 구씨와 이씨에 따르면 이곳에 살고 있는 고양이는 400여 마리로 추산된다. 현재 케어테이커 10여 명이 고양이들을 돌보고 있다. 이들이 이곳을 찾는 이유는 단순히 고양이들에게 밥을 챙겨주기 특수관계 위해서가 아니다. 고양이들의 밥자리를 옮겨 철거 시작 전 공사장 밖으로 빼내기 위해서다. 이씨는 "철거 잔해물에 깔려 죽고 공사장을 나오지 못해 고립돼 죽는 고양이들이 많다는 걸 알고 있다"며 "최대한 많은 고양이를 이주시키려 한다"고 말했다.
사람이 떠난 자리, 남아있는 고양이들
삼성생명주택담보
김정아(왼쪽부터) 카라 활동가, 케어테이커 구미애, 이진희씨가 서울 용산구 한남3구역에서 고양이들의 밥을 챙기고 있다. 고은경 기자
서울 용산구는 최근 한남3구역 내에 고양이 학대는 학자금대출 신청 범죄며 급식소를 훼손시키지 말라는 내용의 현수막을 달았다. 한남3구역길고양이친구들 제공
3일 기준 서울열린데이터광장 사이트를 보면 서울에서만 재개발, 재건축 지역은 770여 곳에 달한다. 전국적으로는 5,000여 곳이 넘는다고 한다. 문제는 사람이 떠난 곳에 남는 동네 고양이들이다. 이들은 영역동물 특성상 살던 곳을 잘 떠나지 않으며 소음이 발생할 경우 오히려 깊은 곳으로 더 숨어버리는 습성이 있어 더 큰 피해로 이어진다.
한남3구역 고양이들의 경우 그래도 운이 좋은 편이다. 케어테이커들과 서울시, 용산구청, 재개발조합이 지난해 여름부터 두 차례 간담회를 갖고 고양이 탈출을 위한 방안을 논의했다. 이들은 철거 시 고양이들의 탈출 유도를 위한 물뿌리기, 가림막 설치 시 생태통로 확보 등의 방안을 마련하기로 했다. 용산구청은 또 뒤늦게나마 지난해 11월 동물보호조례를 개정해 공공급식소 20개를 지원했다. '길고양이 학대는 범죄이며, 급식소를 훼손시키지 말라'는 내용을 담은 현수막도 달았다. 이 지역 고양이들의 중성화가 시급하다는 판단에 지난해 10월 기준 올해 예산까지 끌어다 중성화시킨 고양이는 115마리에 달한다.
서울 용산구 한남3구역 내 살고 있는 고양이가 케어테이커가 다가가자 모습을 드러냈다. 한남3구역길고양이친구들 제공
다만 케어테이커들이 고양이들의 임시보호와 치료를 위해 요구 중인 계류장 설치는 어렵다는 입장이다. 용산구청 관계자는 "계류장을 설치하려면 빈집 등을 활용해야 하는데 안전문제로 인해 허용하기 어렵다"며 "이외에 조합과 케어테이커들의 요구를 잘 조율해 가며 공존의 방안을 찾겠다"고 전했다.
실제 재개발 재건축 지역 고양이 보호를 위해서는 케어테이커뿐만 아니라 지방자치단체, 재건축 재개발 조합, 시공사 모두의 의지가 중요하다. 하지만 실제 현장에서는 담당자의 의지에 따라 지원이나 대책이 달라질 수밖에 없는 게 현실이다. 체계적으로 고양이들을 돕고 싶어도 관련 법적 근거가 없어서다.
재개발, 재건축 지역 고양이 위한 대책 마련돼야
사람은 대부분 떠난 서울 용산구 한남3구역 내 고양이 한 마리가 지나가고 있다. 고은경 기자
동물단체와 케어테이커들은 재개발, 재건축 지역 고양이들을 위한 체계적인 대책이 필요하다고 말한다. 이씨는 "지자체가 재개발사업 초기부터 체계적이고 적극적으로 관여하고, 조합과 시행사가 협조할 수 있도록 기틀을 마련해 주었으면 좋겠다"며 "이와 별도로 케어테이커 교육, 돌봄 가이드라인 배포 등을 통해 올바른 돌봄문화가 확대돼야 한다"고 말했다.
정비구역 내 동물 보호를 위한 조례를 둔 곳은 서울시와 부산시, 경기도 정도다. 서울시 동물보호조례 제25조 제2항을 보면 '시장 또는 구청장은 정비구역 내 동물의 구조와 보호를 위한 노력을 하여야 하며 민간단체 등에 예산의 범위에서 필요한 경비를 지원할 수 있다'고 돼 있다.
케어테이커 이진희씨가 서울 용산구 한남3 재정비촉진구역에서 만난 고양이에게 음식을 건네주고 있다. 고은경 기자
서울 용산구 한남3구역 내 케어테이커들이 마련한 길고양이 집에 고양이 한 마리가 들어가 휴식을 취하고 있다. 고은경 기자
서울시와 부산 해운대구는 관련 매뉴얼도 만들었다. 서울시는 2020년 도시정비구역 시범사업 지역 6곳을 조사한 결과를 바탕으로 '도시정비구역 동물보호활동 매뉴얼'을 발표했고, 부산 해운대구는 지난해 2월 '재개발, 재건축 도시정비구역의 동물보호 매뉴얼'을 만들었다. 여기에는 구가 정비 작업 진행 전 매뉴얼을 사업시행자에게 발송하고 관계기관에 협조 지원을 하도록 하는 내용이 담겼다.
다만 이는 의무가 아닌 권고 사항에 불과하고 아직까지 널리 알려지지 않아 이해 관계자의 적극적인 협조를 받기에는 현실적으로 어려움이 있다는 게 동물단체의 설명이다. 김정아 동물권행동 카라 활동가는 "그럼에도 조례나 매뉴얼은 조합이나 시행사가 협조할 근거가 되므로 있고 없고의 차이는 크다"며 "매뉴얼을 기본으로 하되 현장에 맞춰 적용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김 활동가는 이어 "무엇보다 재개발사업 초기부터 고양이를 자연스럽게 이주시키기 위한 밥자리 이동을 최우선으로 해야 한다"며 "고양이들의 집중 중성화를 비롯해 급식소, 생태통로 설치 등을 위한 예산확보와 이해 관계자들의 소통도 중요하다"고 덧붙였다.
고은경 동물복지 전문기자 scoopkoh@hankookilbo.com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