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젤 V.S 하이브리드 식빵 등의 경우 > 자유게시판

본문 바로가기
사이트 내 전체검색


회원로그인

포인트충전
자유게시판

디젤 V.S 하이브리드 식빵 등의 경우

페이지 정보

작성자 작성일25-04-07 21:45 조회3회 댓글0건

본문

디젤 V.S 하이브리드식빵 등의 경우 어두운 곳이나 저녁에 트렁크에서 짐을 꺼낼 때 내부를 은은하게 비춰줍니다. 또한 야간에 차량 고장 시 트렁크를 열어 비상등과 같은 보조 조명 역할이 가능하죠. 트렁크 오픈 형태의 차박을 즐긴다면 카라비너를 트렁크 걸쇠에 걸어 비활성화 시켜주면 배터리 방전을 막을 수 있습니다.사이드 스텝의 경우 아이를 위해 설치했는데요. 호불호가 분명한 것 같습니다. 2열의 경우 편하게 탑승할 수 있지만 키가 작은 운전자 입장에서는 오히려 걸리적 거리는 느낌이 드네요. 전동식을 선택하지 않은 이유는 잦은 고장률 때문입니다.내장재는 토프 컬러를 선택했습니다. 브라이트한 계열을 굳이 적용하지 않은 이유는 아웃도어 활동이 많을 것이 예상되어 오염으로부터 크게 티가 나지 않는 색상을 알아보니 토프 컬러가 답이겠더라고요. 쉽게 질리지 않고 은은한 고급스러운 느낌이라 마음에 듭니다.2025 신형 카니발 4세대 7인승 캠핑카 선택 이유특히 가족 캠핑을 주로 떠나는 경우 짐이 많기 때문에 더 넓은 수납공간을 위해서라면 3열 싱킹 시트 방식의 7인승이 답이라는 결론이 나더군요. 2열을 앞으로 밀면 약 163cm 정도의 트렁크 공간이 확보됩니다.카니발 7인승 선택 이유필자는 사업자가 있어서 9인승을 선택하면 부가세환급을 받을 수 있는 입장입니다. 그럼에도 9인승이 아닌 7인승을 선택한 이유는 이미 여러 세대의 카니발을 타보면서 느낀 점이 9인승의 메리트가 크게 와닿지 않았기 때문입니다.추가로 트렁크 조명(일명 식빵 등)과 사이드 스텝을 넣었습니다.선루프는 굳이 옵션으로 선택하지 않았습니다. 추후 캠핑 짐이 다양해지면 실용성을 위해서 루프박스를 설치할 예정이라서요.2열 리클라이닝 시트는 1열과의 공간을 자유롭게 확보할 수 있게 설계되었습니다. 수면을 취할 때 거의 누운 자세로 시트 조절이 가능하기 때문에 의전용으로도 부족함이 없겠더라고요.기존 기어봉 타입의 차량만 타다가 다이얼 방식의 변속기를 접해보니 확실히 더 편하게 느껴지더군요. 오른손을 거치할 곳이 없어서 불편하겠다는 우려와는 달리 오히려 빠르게 적응되었습니다.카니발 캠핑카 활용 목적이라면 하이브리드는 오히려 단점이 많게 느껴질 것입니다. Hybrid 특성상 배터리가 2열 바닥 혹은 트렁크 하부에 장착되기 때문에 트렁크 공간의 감소, 시트 폴딩 후 평탄화 문제, 차박 시 활용도가 많이 떨어진다는 것 때문이죠.결정적으로 복합연비가 디젤과 큰 차이가 나지 않는다는 점, 도심 주행 빈도보다는 자동차 전용/고속도로 위주로 주행하려는 목적 때문에 고민 없이 디젤을 선택했습니다. 물론 도심 주행 빈도가 많다면 하이브리드가 연비 차원에서 답일 것입니다.대형 MPV 하면 떠오르는 차량은 카니발일 것입니다. 현 시점 다른 차종과 '대체불가'라는 말이 있을 정도로 패밀리카 아빠차로도 여전히 많은 인기를 누리고 있는데요. 오래전부터 카니발을 탔던 필자 입장에서 9인승이 아닌 7인승을 선택한 이유와 카니발 캠핑카는 어떤 의미를 가지는지 개인적인 입장을 말해보려 합니다.지금까지 2025 카니발 4세대 7인승을 캠핑카로 선택한 이유에 대해 알아보았는데요. 아직까지는 초반이라 확실한 장단점을 분명하게 체감하기는 어렵지만 추후 부가적인 옵션 추가, 혹은 롱텀 탑승 내용으로 다시 찾아올 것을 약속드리며 이만 마치도록 하겠습니다.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센터패시아 하단에 배치된 스마트폰 충전 존, 무선 충전 패드를 지원하지만 개인적으로 많이 활용하지 않고 있습니다. 생각보다 폰이 쉽게 뜨거워지는 느낌이라 가급적이면 유선 연결 방식으로 충전하게 되네요. 확실히 개인 물품 수납공간 또한 기존 카니발 대비 넓어지면서 활용도가 상승된 느낌입니다.생각보다 버스전용차로를 이용할 일이 없으며 고정된 3열 시트가 있으면 짐을 수납할 때 시트를 접어도 턱이 있는 상태라 오히려 불편하더라고요. 또한 내부 세차 시에 불편한 점이 이만저만이 아닙니다. 또한 비싼 보험료와 자동차 정기점검 회수도 더 많으며 이런저런 메리트를 따졌을 때 부가세환급 비용이 크게 와닿지 않았습니다.주행 후기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접속자집계

오늘
844
어제
1,385
최대
3,171
전체
1,705,549
 |  개인정보처리방침 |  이용약관 |  모바일버전 ↑TOP
고객센터:070-4351-6736 | E-mail:winjswin@hanmail.net
(주)포스트에코존 | 대표이사:원미선 |사업자번호:582-86-00807 | 통신판매업신고번호: 제2014-서울강동-0239호 | 출판사신고번호: 제 2018-000006호
서울특별시 강동구 양재대로 1393, 2층 215호(성내동)
Copyright © PAPATOON.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