손오공릴게임 ┽ 41.rxc898.top ┽ 야마토3
페이지 정보
작성자 야빛나송 작성일24-12-28 03:49 조회55회 댓글0건관련링크
- http://85.rgu145.top 38회 연결
- http://43.rzz283.top 37회 연결
본문
【1.ryt144.top】
골드몽게임최신게임슬롯 릴 게임야마토릴
아래의 그래프만 보더라도, 1979~2010년의 평균, 삼국지 주유 1981~2010년의 평균, 1991~2020년의 평균으로 그 범위가 점차 현대와 가까워질수록 기온이 높아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또한, 그렇게 높아진 기온 대비 2023년과 2024년의 지구가 얼마나 더 뜨거웠는지 명확히 알 수 있죠. 이렇게 기온이 높아진 것은, 결국 우리가 뿜어낸 온실가스의 영향입니다. 그런데, 기온 상승을 비롯한 기후변화 전 아파트전세보증금대출 반은 다시 우리의 온실가스 배출에도 영향을 미칩니다. 특히, 그 영향을 많이 받는 배출 부문은 바로, '건물부문'이고요.
IEA(International Energy Agency, 국제에너지기 바보취급 구)는 〈World Energy Outlook 2024〉에서 다양한 시나리오에 기반한 에너지 공급 및 소비에 대한 전망을 공개했습니다. 그 시나리오는 STEPS(Stated Policy Scenario)라는, 각국이 이미 발표한 정책 기반의 시나리오, 그리고 이보다 조금은 더 야심찬 APS(Announced Pledges Scenario)라는 각국이 선언한 신용회복제도 내용에 기반한 시나리오, 그리고 2050년 넷 제로를 달성하기 위한 NZS(Net Zero Scenarion)라는 시나리오, 이렇게 총 3가지로 구성됐습니다.
우리가 흔히 온실가스 감축을 이야기하고, 이를 위한 에너지전환을 이야기할 때, 발전과 산업, 그리고 수송에 대해서 이야기하곤 합니다. 하지만 건물은 국내 국민은행 적금 이율 에서 생각보다 그리 많이 거론되진 않죠. 하지만 건물을 빼놓고는 탄소중립을 결코 논할 수 없을 정도입니다. 당장 2022~2023년만 놓고 보더라도, 전 세계에서 소비된 에너지의 양을 놓고 봤을 때, 건물부문에서 사용한 에너지는 수송부문에서 사용한 에너지를 넘어섭니다.
가장 보수적인 미래 전망이라고 할 수 있는 STEPS에 따르면, 건물부문의 최종 에너지 소비량은 2030년 132EJ에서 2050년 153EJ로 급증할 전망입니다. 수송부문과의 격차는 무려 13EJ로 벌어지게 되고요. 이보다 좀 더 야심찬 APS에 따르면, 건물부문의 에너지 소비는 지금의 124EJ에서 2030년 120EJ, 2035년 117.2EJ, 2040 116.8EJ까지 감소할 전망입니다. 다만 2050년엔 다시 반등해 123EJ을 소비할 걸로 예상됐습니다. 지금으로부터 근 30년이 지난 미래에도 에너지 소비량은 거의 차이가 없는 셈입니다. 물론, 2050년 넷 제로를 달성하기 위해선 124EJ에 달하는 현재 건물부문의 최종에너지 소비를 오는 2030년 103EJ, 2035년 94EJ, 2040년 90EJ까지 줄이고, 2050년에도 92EJ로 지금보다 25.9% 적은 에너지를 써야만 하고요.
그래프의 모습을 보면, 건물부문의 최종 에너지 소비량 감축이 결코 쉽지 않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산업부문이나 수송부문의 경우, 소비량의 상승폭이 매우 제한되거나 도리어 꾸준한 감소세로 돌아서는 것이 가능하지만, 건물부문은 APS나 NZS 같은 시나리오에서도 에너지 소비량의 반등이 일어났습니다. 에너지 소비를 줄여 온실가스 배출을 줄인다 하더라도, 이미 지금까지 배출된 온실가스의 누적 효과로 인해 폭염과 한파, 호우와 가뭄이 공존하는 기후변화를 피할 수 없는 만큼, 이는 건물부문의 에너지 효율 개선 노력에도 불구하고, 결국 소비량이 조금이라도 늘어날 수밖에 없는 상황이 반영된 결과입니다.
그럼 건물에서 쓰이는 에너지는 앞으로 어떻게 달라질까. 2023년 현재 기준, 전 세계 모든 건물이 소비하는 에너지 124.1EJ은 가정용 85.5EJ, 서비스용 38.6EJ로 구성됩니다. 이렇게 쓰인 에너지 가운데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는 것은 46.4EJ의 전기입니다. 비율로는 37.4% 가량이죠. 그런데 여전히 화석연료 또한 다량이 소비되고 있습니다. 천연가스는 28.1EJ(22.7%), 석유 12.6EJ(10.2%), 그리고 석탄도 여전히 3.3EJ(2.6%)이나 쓰였습니다.
STEPS의 경우, 당장 2030년 전기 소비량은 56.47EJ로 늘어나며 그 비중은 42.6%로 높아지고, 2050년엔 82.19EJ로 전체 소비 에너지 가운데 53.8%를 차지할 전망입니다. 전기 다음으로 건물에서 가장 많이 쓰이는 에너지원인 천연가스는 2030년 30.52EJ(23%)로 지금보다 절대량도 비중도 커지나 이후 점차 감소함에 따라 2050년 29.8EJ(19.5%)이 쓰일 것으로 예상됐습니다.
APS의 경우, 2030년 전체 소비량이 기존 124.1EJ에서 120EJ로 감소하는 가운데 전기 소비는 46.41EJ에서 54.75EJ로 늘어납니다. 비중은 45.6%에 이르고요. 계속된 전기화로 2050년엔 75.76EJ로 건물에서 쓰이는 에너지의 61.6%가 전기가 되고, 천연가스는 2030년 27.14EJ(22.6%), 2050년 14.59EJ(6.8%)로 감소할 전망입니다. 이 과정에선 전기화와 더불어 바이오메탄과 수소라는 신에너지의 사용도 이뤄지게 되는데, 2050년 바이오메탄은 2.67EJ, 수소는 0.28EJ로 기체 연료에서 천연가스의 자리를 메우게 됩니다.
당연한 결론이지만, STEPS와 APS에선 2050년에도 결국 천연가스와 석유가 여전히 꽤나 사용되는 만큼 탄소중립과는 거리가 있을 수밖에 없습니다. 2050년 넷 제로 달성을 위해선 당장 2030년 전체 에너지 소비량을 102.6EJ로 대폭 감소시키고, 이 가운데 절반에 가까운 49.6%를 전기로 공급해야 합니다. 2050년엔 전기의 비중이 72.5%로 높아지고, 천연가스 또한 0.03EJ로 사실상 퇴출이 이뤄지게 되고요. 이를 위해선 전기화와 더불어 청정 기체 연료의 보다 빠른 확산도 뒤따라야 합니다. IEA가 NZS를 통해 제시한 2050년 바이오메탄 공급량은 2.51EJ(2.7%), 수소 공급량은 0.31EJ(0.3%) 가량입니다.
이처럼 기존의 화석연료를 다른 에너지로 대체하고, 그러한 대체 수요의 대부분을 전기가 도맡게 되면서 전력 수요는 전에 없던 수준으로 늘어날 수밖에 없습니다. IEA는 과거 10여년의 연평균 전력수요 증가량과 미래 10여년의 전력수요 증가량을 비교했을 때, 이전 대비 연평균 1.6배 더 많이 늘어날 것이라 내다봤습니다. 과거 10여년, 연평균 590TWh씩 증가했던 것에 비해, 앞으론 연평균 932TWh씩 늘어난다는 것이죠. 이는 앞서 살펴본 STEPS, APS, NZS 3가지 시나리오 가운데 가장 보수적인 STEPS에 기반한 전망으로, 전기화가 더욱 빠르게 진행되는 APS나 NZS 상황에선 그 차이는 더욱 커질 수밖에 없습니다. 청정전력의 확보가 결국 관건인 셈입니다.
그런데, 이렇게 늘어나는 수요 증가분에 있어 4분의 1 이상인 26.3%(245EJ)가 기존에 없던 '신규 수요'에서 비롯될 것이라는 게 IEA의 설명입니다. 그리고 그 신규 수요의 대표적인 사례는 바로, 데이터센터입니다. 데이터센터는 글로벌 전력 수요 변화에 있어 주요 변수로 꼽힙니다. 그 건물에서 소비되는 에너지가 다른 모든 종류의 건물과는 비교할 수 없을 정도로 많기 때문입니다. 공간별 에너지 집약도로 따져보자면, 데이터센터는 철강공장이나 대규모의 통신 타워, 공장, 발전소 보다도 더 많은 에너지가 집중되는 장소이죠. 또한, 데이터센터는 그 자체로 '건물'이기도 합니다. 우리가 건물부문에 집중해야만 하는 또 다른 이유입니다.
IEA는 가장 보수적인 시나리오인 STEPS를 기준으로 보더라도, 2023년부터 2030년 사이 전력 수요가 6,760TWh나 늘어날 것으로 내다봤습니다. 이는 2023년 기준 EU와 미국에서 소비된 전력의 합계보다도 많은 숫자입니다. 이중 데이터센터의 몫은 10% 미만 정도로 예상됐습니다. '그 정도면 적은 것 아냐?' 싶을 수도 있지만, 중공업과 같은 전통의 에너지 다소비 산업과 더불어 세상의 수많은 다른 산업군, 그리고 전기차 등 다양한 수요처 가운데 '데이터센터'라는 특정 항목만으로 차지하는 비중이 10분의 1이라면, 이는 결코 적다고 무시할 수만은 없습니다.
다만, 이러한 데이터센터의 전력 수요 예측엔 어려움이 많은 것이 사실입니다. 2022년에만 하더라도, 데이터센터의 전력 수요는 240~340TWh 정도로, 전체 전력 소비의 1~1.3% 가량에 그치는 것으로 추정됐습니다. 하지만 이후 다양한 글로벌 기업들이 AI 전쟁에 뛰어들면서 수요 예측의 불확실성은 더욱 커졌습니다. 데이터센터가 얼마나 빠르게 확산되느냐에 따라 그 수요가 많게는 160~170TWh 가량 더 늘어날 수도 있고, 적게는 100TWh 넘게 감소할 수도 있을 정도이죠.
이미 다양한 기관들에서 데이터센터를 '미래의 청정전기를 빨아들이는 하마'로 지목하는 가운데, IEA는 상대적으로 “그보다 더 큰 수요 증가를 부르는 요인들이 있다”고 분석했고, 그 부분에 있어 매우 큰 몫을 차지하는 것은 바로 '기후변화' 그 자체였습니다. 공간의 냉방과 난방에 사용하는데 필요한 전력 수요의 증가가 전기차 확산으로 인한 전력 수요의 증가보다도 많을 정도로 예상됐기 때문입니다.
IEA는 이러한 기후변화가 미래 에너지 전망에 불확실성을 높이는 주요 요소라고 지적했습니다. 2035년, 폭염이 당초 예상보다 더 빈번해질 경우에 건물의 냉방 수요 증가폭은 기존 1,220TWh에 추가로 700TWh가 더해질 수 있다는 것이 IEA의 분석입니다. 그렇지 않아도 기온의 상승을 감안한 수치인데, 그보다 57.4%가 더 늘어날 수 있다는 겁니다.
이러한 불확실성을 제거하기 위해선 어떻게 해야 할까. 우리는 이미 답을 알고 있습니다. 근원적 해결책인 건설 과정에서의 온실가스 감축, 늘어날 에너지 수요에 따른 환경적 영향을 최소화하기 위한 에너지의 청정화(에너지전환), 그리고 기존보다 더 적은 에너지로도 더 큰 효과를 낼 수 있도록 건물 자체의 효율을 개선시키는 그린 리모델링이 그 답입니다.
하지만 이들 세 가지 가운데 어느 하나도 우리 사회의 공공 의제로 끌어올리기는 쉽지 않습니다. 녹색 건축 기술의 R&D와 그 기술의 실현은 결국 미래 한국 건설 산업의 든든한 토대로써 수출 경쟁력의 강화를 부를 수도 있음에도 '당장의 비용 절감이 우선'이라는 역설적인 공세에 밀려나고, 에너지전환은 여전히 이를 이데올로기에 따른 '이념적 선택'으로 바라보는 사회적 분위기에 밀려나고, 그린 리모델링은 '그린'보다 '리모델링'에 초점이 맞춰져 논점이 흐려지기 십상인 우리의 안타까운 현실로 인해서 말입니다.
IEA가 발표한 미래 에너지 모습인 〈World Energy Outlook 2024〉. 이번 주, 건물부문을 끝으로 그 주요 내용에 대해 지난 4주에 걸쳐 살펴봤습니다. 그럼, 현재 우리 건물부문이 처한 현실은 어떤 모습일까요. 이에 대해선 다음 주 연재에서 보다 자세히 살펴보겠습니다.
박상욱 park.lepremier@jtbc.co.kr
골드몽게임최신게임슬롯 릴 게임야마토릴
온라인파칭코 ◗ 99.ryt144.top ◗ 바다이야기 상어
온라인파칭코 ◗ 31.ryt144.top ◗ 바다이야기 상어
온라인파칭코 ◗ 95.ryt144.top ◗ 바다이야기 상어
온라인파칭코 ◗ 62.ryt144.top ◗ 바다이야기 상어
바로가기 go !! 바로가기 go !!
알라딘릴 야마토5 오션파라다이스 예시 슬롯추천 바다이야기 2화 바다이야기 무료머니 바다이야기온라인 슬롯 확률 온라인야마토게임 야마토하는곳 신야마토 중고게임기 매매 오리 지날 바다 종합릴게임 인터넷야마토게임 황금성 빠징코 슬롯머신 알라딘게임다운 오션파라다이스시즌7 게임황금성 바다이야기 pc용 알라딘 릴게임 무료충전 바다이야기 팡멀티릴게임 핸드폰바다이야기 신천지무료 바다게임 바다이야기배당 모바일파칭코 바다이야기상어 릴게임신천지 무료슬롯머신 신천지게임 하는곳 오징어 릴게임 릴게임다운로드 바다이야기황금고래 손오공게임온라인 릴게임 온라인 씨엔조이 인터넷바다이야기게임 릴게임황금성 오리지널야마토2게임 인터넷 바다이야기 황금성포커성 릴게임백경 야마토게임공략방법 릴게임강시 황금성3 오션파라다이스다운 온라인슬롯사이트 실시간파워볼 오션파라다이스릴게임 인터넷백경 릴게임골드몽사이트 슬롯머신 추천 바다이야기 릴게임 신천지인터넷게임 모바일 바다이야기 뉴야마토 모바일 바다이야기 프라그마틱 슬롯 무료체험 오션파라다이스 온라인 슬롯종류 릴게임 신천지사이트 바다이야기하는곳 바다이야기게임 슬롯종류 온라인릴게임 먹튀 검증 릴게임 신천지 야마토무료게임 알라딘릴게임 사이트 동영상황금성 게임몰 오션파라다이스다운로드 체리마스터 판매 야마토2게임다운로드 황금성나비 유니티 슬롯 머신 황금성연타 바다이야기환전가능 실시간릴게임사이트 야마토3다운로드게임사이트 체리마스터 어플 없습니다. 릴게임 사이트 도메인 다빈치 일본빠찡코 바다이야기 2화 무료인터넷게임 바다이야기 부활 릴게임손오공게임 알라딘릴 야마토게임 기 체리마스터 바다이야기 환전 바다이야기 릴게임 야마토온라인주소 야마토카지노 야마토하는법 백경게임예시 바다이야기기프트전환 오션파라다이스 온라인슬롯 배팅법 오션파라다이스게임 황금성하는법 무료머니릴게임 야마토게임후기 프라그마틱무료메타2 바다이야기꽁머니환전 신오션파라다이스 무료온라인게임 백경게임사이트 무료충전 릴 게임 파칭코종류 양귀비게임설명 야마토 게임방법 예시 슬롯 머신 html 바다이야기기계 바다이야기꽁머니환전윈윈 무료 슬롯 머신 카지노 게임 릴게임꽁머니 인터넷예시게임 무료충전게임 올벳매거진 황금포커성 '역대 가장 더운 해'로 기록됐던 2023년에 이어 2024년은 다시 한번 그 기록을 갈아치우게 됐습니다. 12월 14일 기준, 전 지구 평균기온은 15.18℃를 기록하며 전년 동기 대비 0.12℃ 높은 기온을 기록 중이기 때문입니다. 상반기까지 2024년은 2023년보다 훨씬 뜨거운 나날을 보냈습니다. 2023년과의 격차는 점차 줄어들어 이후 두달여 동안은 2023년과 비슷한 수준의 기온을 보였고, 가을부턴 2023년보다 기온이 소폭 떨어지기도 했습니다. 그럼에도 여전히 연평균기온으론 2023년보다 높은 수준이 유지됐고, 12월에 들어선 다시금 2023년의 같은 날보다 기온이 높은 모습을 보이기에 이르렀죠.아래의 그래프만 보더라도, 1979~2010년의 평균, 삼국지 주유 1981~2010년의 평균, 1991~2020년의 평균으로 그 범위가 점차 현대와 가까워질수록 기온이 높아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또한, 그렇게 높아진 기온 대비 2023년과 2024년의 지구가 얼마나 더 뜨거웠는지 명확히 알 수 있죠. 이렇게 기온이 높아진 것은, 결국 우리가 뿜어낸 온실가스의 영향입니다. 그런데, 기온 상승을 비롯한 기후변화 전 아파트전세보증금대출 반은 다시 우리의 온실가스 배출에도 영향을 미칩니다. 특히, 그 영향을 많이 받는 배출 부문은 바로, '건물부문'이고요.
IEA(International Energy Agency, 국제에너지기 바보취급 구)는 〈World Energy Outlook 2024〉에서 다양한 시나리오에 기반한 에너지 공급 및 소비에 대한 전망을 공개했습니다. 그 시나리오는 STEPS(Stated Policy Scenario)라는, 각국이 이미 발표한 정책 기반의 시나리오, 그리고 이보다 조금은 더 야심찬 APS(Announced Pledges Scenario)라는 각국이 선언한 신용회복제도 내용에 기반한 시나리오, 그리고 2050년 넷 제로를 달성하기 위한 NZS(Net Zero Scenarion)라는 시나리오, 이렇게 총 3가지로 구성됐습니다.
우리가 흔히 온실가스 감축을 이야기하고, 이를 위한 에너지전환을 이야기할 때, 발전과 산업, 그리고 수송에 대해서 이야기하곤 합니다. 하지만 건물은 국내 국민은행 적금 이율 에서 생각보다 그리 많이 거론되진 않죠. 하지만 건물을 빼놓고는 탄소중립을 결코 논할 수 없을 정도입니다. 당장 2022~2023년만 놓고 보더라도, 전 세계에서 소비된 에너지의 양을 놓고 봤을 때, 건물부문에서 사용한 에너지는 수송부문에서 사용한 에너지를 넘어섭니다.
가장 보수적인 미래 전망이라고 할 수 있는 STEPS에 따르면, 건물부문의 최종 에너지 소비량은 2030년 132EJ에서 2050년 153EJ로 급증할 전망입니다. 수송부문과의 격차는 무려 13EJ로 벌어지게 되고요. 이보다 좀 더 야심찬 APS에 따르면, 건물부문의 에너지 소비는 지금의 124EJ에서 2030년 120EJ, 2035년 117.2EJ, 2040 116.8EJ까지 감소할 전망입니다. 다만 2050년엔 다시 반등해 123EJ을 소비할 걸로 예상됐습니다. 지금으로부터 근 30년이 지난 미래에도 에너지 소비량은 거의 차이가 없는 셈입니다. 물론, 2050년 넷 제로를 달성하기 위해선 124EJ에 달하는 현재 건물부문의 최종에너지 소비를 오는 2030년 103EJ, 2035년 94EJ, 2040년 90EJ까지 줄이고, 2050년에도 92EJ로 지금보다 25.9% 적은 에너지를 써야만 하고요.
그래프의 모습을 보면, 건물부문의 최종 에너지 소비량 감축이 결코 쉽지 않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산업부문이나 수송부문의 경우, 소비량의 상승폭이 매우 제한되거나 도리어 꾸준한 감소세로 돌아서는 것이 가능하지만, 건물부문은 APS나 NZS 같은 시나리오에서도 에너지 소비량의 반등이 일어났습니다. 에너지 소비를 줄여 온실가스 배출을 줄인다 하더라도, 이미 지금까지 배출된 온실가스의 누적 효과로 인해 폭염과 한파, 호우와 가뭄이 공존하는 기후변화를 피할 수 없는 만큼, 이는 건물부문의 에너지 효율 개선 노력에도 불구하고, 결국 소비량이 조금이라도 늘어날 수밖에 없는 상황이 반영된 결과입니다.
그럼 건물에서 쓰이는 에너지는 앞으로 어떻게 달라질까. 2023년 현재 기준, 전 세계 모든 건물이 소비하는 에너지 124.1EJ은 가정용 85.5EJ, 서비스용 38.6EJ로 구성됩니다. 이렇게 쓰인 에너지 가운데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는 것은 46.4EJ의 전기입니다. 비율로는 37.4% 가량이죠. 그런데 여전히 화석연료 또한 다량이 소비되고 있습니다. 천연가스는 28.1EJ(22.7%), 석유 12.6EJ(10.2%), 그리고 석탄도 여전히 3.3EJ(2.6%)이나 쓰였습니다.
STEPS의 경우, 당장 2030년 전기 소비량은 56.47EJ로 늘어나며 그 비중은 42.6%로 높아지고, 2050년엔 82.19EJ로 전체 소비 에너지 가운데 53.8%를 차지할 전망입니다. 전기 다음으로 건물에서 가장 많이 쓰이는 에너지원인 천연가스는 2030년 30.52EJ(23%)로 지금보다 절대량도 비중도 커지나 이후 점차 감소함에 따라 2050년 29.8EJ(19.5%)이 쓰일 것으로 예상됐습니다.
APS의 경우, 2030년 전체 소비량이 기존 124.1EJ에서 120EJ로 감소하는 가운데 전기 소비는 46.41EJ에서 54.75EJ로 늘어납니다. 비중은 45.6%에 이르고요. 계속된 전기화로 2050년엔 75.76EJ로 건물에서 쓰이는 에너지의 61.6%가 전기가 되고, 천연가스는 2030년 27.14EJ(22.6%), 2050년 14.59EJ(6.8%)로 감소할 전망입니다. 이 과정에선 전기화와 더불어 바이오메탄과 수소라는 신에너지의 사용도 이뤄지게 되는데, 2050년 바이오메탄은 2.67EJ, 수소는 0.28EJ로 기체 연료에서 천연가스의 자리를 메우게 됩니다.
당연한 결론이지만, STEPS와 APS에선 2050년에도 결국 천연가스와 석유가 여전히 꽤나 사용되는 만큼 탄소중립과는 거리가 있을 수밖에 없습니다. 2050년 넷 제로 달성을 위해선 당장 2030년 전체 에너지 소비량을 102.6EJ로 대폭 감소시키고, 이 가운데 절반에 가까운 49.6%를 전기로 공급해야 합니다. 2050년엔 전기의 비중이 72.5%로 높아지고, 천연가스 또한 0.03EJ로 사실상 퇴출이 이뤄지게 되고요. 이를 위해선 전기화와 더불어 청정 기체 연료의 보다 빠른 확산도 뒤따라야 합니다. IEA가 NZS를 통해 제시한 2050년 바이오메탄 공급량은 2.51EJ(2.7%), 수소 공급량은 0.31EJ(0.3%) 가량입니다.
이처럼 기존의 화석연료를 다른 에너지로 대체하고, 그러한 대체 수요의 대부분을 전기가 도맡게 되면서 전력 수요는 전에 없던 수준으로 늘어날 수밖에 없습니다. IEA는 과거 10여년의 연평균 전력수요 증가량과 미래 10여년의 전력수요 증가량을 비교했을 때, 이전 대비 연평균 1.6배 더 많이 늘어날 것이라 내다봤습니다. 과거 10여년, 연평균 590TWh씩 증가했던 것에 비해, 앞으론 연평균 932TWh씩 늘어난다는 것이죠. 이는 앞서 살펴본 STEPS, APS, NZS 3가지 시나리오 가운데 가장 보수적인 STEPS에 기반한 전망으로, 전기화가 더욱 빠르게 진행되는 APS나 NZS 상황에선 그 차이는 더욱 커질 수밖에 없습니다. 청정전력의 확보가 결국 관건인 셈입니다.
그런데, 이렇게 늘어나는 수요 증가분에 있어 4분의 1 이상인 26.3%(245EJ)가 기존에 없던 '신규 수요'에서 비롯될 것이라는 게 IEA의 설명입니다. 그리고 그 신규 수요의 대표적인 사례는 바로, 데이터센터입니다. 데이터센터는 글로벌 전력 수요 변화에 있어 주요 변수로 꼽힙니다. 그 건물에서 소비되는 에너지가 다른 모든 종류의 건물과는 비교할 수 없을 정도로 많기 때문입니다. 공간별 에너지 집약도로 따져보자면, 데이터센터는 철강공장이나 대규모의 통신 타워, 공장, 발전소 보다도 더 많은 에너지가 집중되는 장소이죠. 또한, 데이터센터는 그 자체로 '건물'이기도 합니다. 우리가 건물부문에 집중해야만 하는 또 다른 이유입니다.
IEA는 가장 보수적인 시나리오인 STEPS를 기준으로 보더라도, 2023년부터 2030년 사이 전력 수요가 6,760TWh나 늘어날 것으로 내다봤습니다. 이는 2023년 기준 EU와 미국에서 소비된 전력의 합계보다도 많은 숫자입니다. 이중 데이터센터의 몫은 10% 미만 정도로 예상됐습니다. '그 정도면 적은 것 아냐?' 싶을 수도 있지만, 중공업과 같은 전통의 에너지 다소비 산업과 더불어 세상의 수많은 다른 산업군, 그리고 전기차 등 다양한 수요처 가운데 '데이터센터'라는 특정 항목만으로 차지하는 비중이 10분의 1이라면, 이는 결코 적다고 무시할 수만은 없습니다.
다만, 이러한 데이터센터의 전력 수요 예측엔 어려움이 많은 것이 사실입니다. 2022년에만 하더라도, 데이터센터의 전력 수요는 240~340TWh 정도로, 전체 전력 소비의 1~1.3% 가량에 그치는 것으로 추정됐습니다. 하지만 이후 다양한 글로벌 기업들이 AI 전쟁에 뛰어들면서 수요 예측의 불확실성은 더욱 커졌습니다. 데이터센터가 얼마나 빠르게 확산되느냐에 따라 그 수요가 많게는 160~170TWh 가량 더 늘어날 수도 있고, 적게는 100TWh 넘게 감소할 수도 있을 정도이죠.
이미 다양한 기관들에서 데이터센터를 '미래의 청정전기를 빨아들이는 하마'로 지목하는 가운데, IEA는 상대적으로 “그보다 더 큰 수요 증가를 부르는 요인들이 있다”고 분석했고, 그 부분에 있어 매우 큰 몫을 차지하는 것은 바로 '기후변화' 그 자체였습니다. 공간의 냉방과 난방에 사용하는데 필요한 전력 수요의 증가가 전기차 확산으로 인한 전력 수요의 증가보다도 많을 정도로 예상됐기 때문입니다.
IEA는 이러한 기후변화가 미래 에너지 전망에 불확실성을 높이는 주요 요소라고 지적했습니다. 2035년, 폭염이 당초 예상보다 더 빈번해질 경우에 건물의 냉방 수요 증가폭은 기존 1,220TWh에 추가로 700TWh가 더해질 수 있다는 것이 IEA의 분석입니다. 그렇지 않아도 기온의 상승을 감안한 수치인데, 그보다 57.4%가 더 늘어날 수 있다는 겁니다.
이러한 불확실성을 제거하기 위해선 어떻게 해야 할까. 우리는 이미 답을 알고 있습니다. 근원적 해결책인 건설 과정에서의 온실가스 감축, 늘어날 에너지 수요에 따른 환경적 영향을 최소화하기 위한 에너지의 청정화(에너지전환), 그리고 기존보다 더 적은 에너지로도 더 큰 효과를 낼 수 있도록 건물 자체의 효율을 개선시키는 그린 리모델링이 그 답입니다.
하지만 이들 세 가지 가운데 어느 하나도 우리 사회의 공공 의제로 끌어올리기는 쉽지 않습니다. 녹색 건축 기술의 R&D와 그 기술의 실현은 결국 미래 한국 건설 산업의 든든한 토대로써 수출 경쟁력의 강화를 부를 수도 있음에도 '당장의 비용 절감이 우선'이라는 역설적인 공세에 밀려나고, 에너지전환은 여전히 이를 이데올로기에 따른 '이념적 선택'으로 바라보는 사회적 분위기에 밀려나고, 그린 리모델링은 '그린'보다 '리모델링'에 초점이 맞춰져 논점이 흐려지기 십상인 우리의 안타까운 현실로 인해서 말입니다.
IEA가 발표한 미래 에너지 모습인 〈World Energy Outlook 2024〉. 이번 주, 건물부문을 끝으로 그 주요 내용에 대해 지난 4주에 걸쳐 살펴봤습니다. 그럼, 현재 우리 건물부문이 처한 현실은 어떤 모습일까요. 이에 대해선 다음 주 연재에서 보다 자세히 살펴보겠습니다.
박상욱 park.lepremier@jtbc.co.kr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