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항 곳곳에 균열…고속철도 공사 ‘진동’·‘지 > 자유게시판

본문 바로가기
사이트 내 전체검색


회원로그인

포인트충전
자유게시판

공항 곳곳에 균열…고속철도 공사 ‘진동’·‘지

페이지 정보

작성자 작성일25-04-19 09:02 조회7회 댓글0건

본문

공항 곳곳에 균열…고속철도 공사 ‘진동’·‘지하수 변화’ 원인전문가 "비행기 오가는 공항, 빠른 보수 작업 필요해"무안국제공항 내 지반침하 및 시설물 변형 모습.(서울=뉴스1) 황보준엽 기자 = 최근 잇따른 지반침하 사고가 발생하는 가운데 무안국제공항도 지반침하 위험에 노출된 것으로 확인됐다. 공항 인근 고속철도 공사로 인해 땅이 내려앉고, 시설물 곳곳에 균열이 발생했다.19일 뉴스1 취재를 종합하면 한국공항공사는 지난달 31일 무안공항 지반침하 현장에 대한 합동 안전점검을 실시했다. 점검대상은 이동지역과 관리지역의 지반침하 발생구간 및 담장, 지하구 등 시설물 균열 발생부위를 세부점검하고, 조치방안에 대해 논의한 것으로 알려진다.지반 침하로 균열 또는 변형이 발생한 시설물은 △계류장 조명탑 보호대 기초 △여객청사 및 GSE 도로 경계면 △탑승교 기초 주변 △여객청사 측면 △1번 탑승교 담장 △1번 탑승교 및 여객청사 측면 바닥 등이다.공항공사는 호남고속철도 2단계(고막원~목포) 제4공구 건설공사 환기구 및 통합 수직구 구축(정거장 터널 등)에 따른 지속적인 발파 충격(진동)과 지하수위 변경 등으로 인해 이 같은 현상이 발생한 것으로 분석했다.호남고속철도 2단계는 나주에서 목포를 잇는 연장 44.1㎞의 고속철도 사업이다. 해당 구간은 4공구로 무안군 현경면에서 망운면까지 4.67㎞의 터널과 무안공항 정거장 1개소를 포함한다. 공사도급액은 2891억 원이며, 시공사는 DL이앤씨다.지난해 이상징후 있었지만…1년 넘도록 대책 '전무'무안공항 지반침하 현상은 이미 지난해부터 감지됐으나, 공항공사는 그동안 안전점검 용역에만 그쳤다. 그러나 최근 침하와 균열이 가속화되자 결국 합동 점검에 나서게 됐다.문제는 지반 침하가 발생한 지 1년이 훌쩍 지났는데도, 여전히 대책은 수립되지 않은 상태다. 윤종군 더불어민주당 의원실에 따르면 공항공사는 지난해 10월 고속철도 공사 발주처인 국가철도공단에 안전점검을 요청했다. 그러나 보수 대책을 공식 요청한 것은 이달 2일, 무려 6개월 뒤였다.공사는 공문에서 "환기구#3 주변(무안공항 화물터미널 인근) 지반 공항 곳곳에 균열…고속철도 공사 ‘진동’·‘지하수 변화’ 원인전문가 "비행기 오가는 공항, 빠른 보수 작업 필요해"무안국제공항 내 지반침하 및 시설물 변형 모습.(서울=뉴스1) 황보준엽 기자 = 최근 잇따른 지반침하 사고가 발생하는 가운데 무안국제공항도 지반침하 위험에 노출된 것으로 확인됐다. 공항 인근 고속철도 공사로 인해 땅이 내려앉고, 시설물 곳곳에 균열이 발생했다.19일 뉴스1 취재를 종합하면 한국공항공사는 지난달 31일 무안공항 지반침하 현장에 대한 합동 안전점검을 실시했다. 점검대상은 이동지역과 관리지역의 지반침하 발생구간 및 담장, 지하구 등 시설물 균열 발생부위를 세부점검하고, 조치방안에 대해 논의한 것으로 알려진다.지반 침하로 균열 또는 변형이 발생한 시설물은 △계류장 조명탑 보호대 기초 △여객청사 및 GSE 도로 경계면 △탑승교 기초 주변 △여객청사 측면 △1번 탑승교 담장 △1번 탑승교 및 여객청사 측면 바닥 등이다.공항공사는 호남고속철도 2단계(고막원~목포) 제4공구 건설공사 환기구 및 통합 수직구 구축(정거장 터널 등)에 따른 지속적인 발파 충격(진동)과 지하수위 변경 등으로 인해 이 같은 현상이 발생한 것으로 분석했다.호남고속철도 2단계는 나주에서 목포를 잇는 연장 44.1㎞의 고속철도 사업이다. 해당 구간은 4공구로 무안군 현경면에서 망운면까지 4.67㎞의 터널과 무안공항 정거장 1개소를 포함한다. 공사도급액은 2891억 원이며, 시공사는 DL이앤씨다.지난해 이상징후 있었지만…1년 넘도록 대책 '전무'무안공항 지반침하 현상은 이미 지난해부터 감지됐으나, 공항공사는 그동안 안전점검 용역에만 그쳤다. 그러나 최근 침하와 균열이 가속화되자 결국 합동 점검에 나서게 됐다.문제는 지반 침하가 발생한 지 1년이 훌쩍 지났는데도, 여전히 대책은 수립되지 않은 상태다. 윤종군 더불어민주당 의원실에 따르면 공항공사는 지난해 10월 고속철도 공사 발주처인 국가철도공단에 안전점검을 요청했다. 그러나 보수 대책을 공식 요청한 것은 이달 2일, 무려 6개월 뒤였다.공사는 공문에서 "환기구#3 주변(무안공항 화물터미널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접속자집계

오늘
1,970
어제
1,910
최대
3,171
전체
1,728,598
 |  개인정보처리방침 |  이용약관 |  모바일버전 ↑TOP
고객센터:070-4351-6736 | E-mail:winjswin@hanmail.net
(주)포스트에코존 | 대표이사:원미선 |사업자번호:582-86-00807 | 통신판매업신고번호: 제2014-서울강동-0239호 | 출판사신고번호: 제 2018-000006호
서울특별시 강동구 양재대로 1393, 2층 215호(성내동)
Copyright © PAPATOON.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