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일 연평도에서 해병대 연평부대 포7중대 장병들이 K9 자주포 비사격 훈련을 하고 있다.(해병대 제공) (연평도=뉴스1) 허고운 기자 = 윤석열 대통령의 파면이 결정된 4일, 북한과 가장 인접한 우리 영토인 연평도는 고요 속에서도 긴장감이 감돌았다. 적막한 섬에 울려 퍼진 건 해병대 장병들의 힘찬 구령 소리였다. "하나포 사격 준비 끝!"해병대 연평부대 포7중대 장병들은 이날도 어김없이 K9 자주포를 활용한 비사격 훈련에 돌입했다. 자주포 옆으로 달려가는 병사들의 발걸음은 거침이 없었고, 각자 맡은 임무에 대한 손놀림은 노련했다. 단순한 훈련이 아닌 실전을 가정한 연습이었음을 느낄 수 있었다. 몇 초 후, 포반장으로부터 "목표 지점 타격 완료"라는 보고가 이어졌다. 실제 포탄이 날아간 건 아니었지만, 장병들의 눈빛은 실전을 마주한 군인과 다를 바 없었다. '서북도서 절대사수'가 임무인 연평부대 예하 각 포병중대는 매일 전투배치 및 비사격훈련을 하며 사격 능력을 다진다. 이들은 불시에 조성된 상황에 대응하는 훈련을 반복하며 언제든지 5분 안에 초탄을 발사할 수 있는 즉각사격 준비태세를 갖추고 있다고 한다. 김문기 하나포 포반장(중사)은 평시에도 언제든지 쏠 준비가 될 수 있게 장비 정비를 철저히 하고, 만약 실제 사격해야 하는 일이 생기면 언제 어디서든 사격할 수 있도록 하겠다"라고 말했다. 서해 북방한계선(NLL) 인근 해상에 중국 어선들이 조업하고 있다. 사진은 망향전망대에서 촬영. 이날 훈련은 공교롭게도 헌법재판소가 윤 대통령의 파면을 선고한 오전 11시 22분쯤 진행됐다. 정치적 격변이 휩쓸고 있는 육지와 달리 서해 북방한계선(NLL)과 불과 1.5㎞ 거리인 연평도에는 오직 '서북도서 절대 사수'라는 명령만이 존재했다.포7중대는 실제로 북한과 교전해 승리한 경험이 있는 부대이기도 하다. 2010년 11월 북한이 연평도를 포격한 이후, 해병대는 K9 자주포로 즉각 대응했다. 북한군의 포탄이 떨어졌던 곳 중 하나인 3포상은 현재까지도 원형 그대로 보존돼 안보 교육장으로 활용되고 있다. 승전의 기억이 해병대에게는 '과거의 이야기'가 아닌 '현재의 사명'으로 이어지고 있는 셈이다. 이날 북한은 '청명절' 휴일로, 전방에서의 특별한 활동은 없었다. 그러나 우리 군은 사 안동 산불 피해 현장에 마련된 응급 동물 진료소에서 이민수 원장이 치료한 백구에게 손을 내밀자 백구가 손을 핥으며 인사하고 있다(동물병원 제공). ⓒ 뉴스1 "자기를 치료해 준 사람인 걸 아는 걸까요? 제 손을 핥으며 인사를 하네요." (서울=뉴스1) 한송아 기자 최서윤 동물문화전문기자 = 4일 경북 안동 산불 피해 현장에 마련된 응급 동물 진료소. 이민수 SD동물의료센터 원장은 방금 봉합 수술을 마친 백구를 살펴보며 조용히 말했다. 다친 몸에도 불구하고, 백구는 자신을 치료해 준 이 원장의 손에 얼굴을 비비고 핥으며 고마움을 전하는 듯했다.대형 산불로 피해를 본 동물들의 치료를 위해 서울시수의사회(회장 황정연)와 SD동물의료센터(에스디동물의료센터) 왕십리점·김포점 의료진이 발 벗고 나섰다. 의료진은 경북 안동에 마련된 응급 동물 진료소를 찾아 다친 동물들을 치료하며 구조 활동에 힘을 보태고 있다.산불은 진화됐지만… 구조와 치료는 계속동물보호단체들에 따르면 산불이 진화된 이후에도 동물 구조 작업은 멈추지 않고 있다. 수의사들은 산불 발생 직후부터 현장에 응급 동물 진료소를 설치해 구조된 동물들의 치료를 지원하고 있다. 중증 상태의 동물들은 동물병원으로 이송해 집중 치료 중이다.그러나 시간이 흐르며 구조되는 동물의 수가 점점 증가하고, 부상 정도도 심각한 사례가 많아지면서 의료 지원이 더욱 절실해진 상황이다. 이러한 소식을 접한 수의사들은 즉각 현장을 찾아 동물들의 치료를 도왔다."긴급한 의료 지원 절실… 끝까지 돕겠다" 이민수 SD동물의료센터 대표원장이 4일 경북 안동에 마련된 응급 동물 진료소에서 산불 피해를 입고 응급으로 이송된 강아지의 상처를 치료하고 있다(김기범 PD 제공). ⓒ 뉴스1 이민수 SD동물의료센터 대표원장은 "상처가 심한 동물들의 구조가 계속되면서 현장에서 즉시 처치할 수 있는 의료진이 꼭 필요하다는 소식을 듣고 한걸음에 달려왔다"며 "피해 범위와 정도가 심각한 만큼 장기간 도움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SD동물의료센터도 최선을 다해 지원하겠다"고 밝혔다.SD동물의료센터 의료진은 현장에서 피부가 찢어진 강아지의 봉합 수술을 비롯해 화상을 입은 동물들의 소독 및 응급 처치를 진행하며 의료 지원에 힘을 쏟았다.이날 응급 동물 진료소를 방문한 장철웅 안동시 부시장은